인구 구조와 산업 지형의 변화로 인해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강원일보 AI 저널리즘랩이 5일 발표한 ‘2045 강원특별자치도 미래보고서-교통’편에 따르면 ‘정주인구 감소’와 ‘생활인구 급증’이 동시에 진행되는 이중적 현실 속에서, 기존 교통정책의 유효성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2045년 강원특별자치도의 노인 인구는 약 65만 명에 달하며 전체 인구의 40%를 넘길 것으로 전망하며 고령화가 심각한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대중교통 수요 자체가 사라지는 공동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따라 소멸위험지역은 교통 접근성 자체가 삶의 질을 좌우하는 문제로 부상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관광·업무·교육·주말 주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유입되는 ‘생활인구’는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특정 시간·장소에 수요가 집중되는 비정형 교통 패턴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마지막 1마일(last mile)’ 연결 인프라의 미비는 교통 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에서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 요소로 지목됐다.
교통 격차 심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보고서는 수도권과 강원도 주요 거점을 잇는 광역 인프라는 빠르게 확충되고 있지만, 도내 시·군 간 연결성은 여전히 개선 속도가 더디다고 지적했다. 특히 춘천·원주·강릉 등 중심 도시는 확장세를 보이는 반면, 주변 시군은 교통 접근성 저하로 오히려 고립될 가능성이 커 ‘교통 양극화’ 현상이 현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세 가지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첫째는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도입이다. 고정 노선 중심의 교통에서 벗어나, 고령자·관광객·이동약자를 위한 탄력형 운행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기후테크 기반의 지속가능 교통 인프라’ 전환이다. 폭염과 폭설,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기후환경 속에서, 교통 인프라의 복원력과 탄소중립 기술의 결합이 강원도의 생존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셋째는 ‘광역-지역 연계형 관광교통 솔루션’ 구축이다. 수도권과 강원을 빠르게 연결하는 동시에, 지역 내 순환 교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통합모델을 통해 체류형 관광을 가능하게 하자는 제안이다.
정주 인구 감소와 생활 인구 증가라는 상반된 흐름 속에서, 교통 시스템의 전략적 전환이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 성장의 전제 조건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이 보고서는 국토교통부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자료를 비롯해 강원도, 강원연구원, 통계청의 각종 교통 관련 데이터, 정주인구·생활인구 예측데이터 등을 핵심 동인 분석, 전략적 대안 도출 등의 연구방법론에 대입, AI 분석을 통해 작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