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가 K-콘텐츠 글로벌 확산과 발 맞춰 '미래유산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원연구원은 1일 '현재의 강원다움, 강원 미래유산제도로 준비하자'라는 2025년 제39호 정책톡톡을 발간했다. 미래유산은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의미와 정체성을 살펴보지 않으면 없어질지도 모를 중요한 지역 유·무형 자산들을 발굴, 미래세대에 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가유산에 등록된 도내 유산은 738건으로, 근·현대 문화를 포함하는 등록문화유산은 56건에 그친다. 이에 국가유산만으로 지역 정체성을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도 차원의 미래유산제도를 도입해 콘텐츠를 발굴하고 문화관광산업과 연계, 신규 수요와 공급을 창출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타 지역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가락시장, 국기원 등 449건을, 부산광역시가 국제시장, 동광동 인쇄골목, 돼지국밥 등 85건을 미래유산으로 선정했으며 대전, 경기, 전남 등도 관련 조례를 제정한 상황이다. 도내에서는 원주와 동해가 조례를 만들어 뒀다.
이영주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미래 유산을 활용한 콘텐츠로 도민의 자긍심을 향상시키고 외지 관광객의 관심 확대하는 것이 중요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