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강원지역 농가 즉각 반발

사과 수입 ‘할 수 없다’ 원칙…대외적으로 밝혀 달라 정부에 촉구
사과 수입 땐 단체행동 불사…강원 농민들 ‘검역 실패’ 반복하면 안된다 한목소리

지난 7월 31일 강원지역 농민들이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사과 수입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전국사과생산자협회 정선지회 제공

한미가 쌀·소고기를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 했지만 사과 등 다른 농작물에 언급이 없어 강원지역 과수농가들이 반발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내 등록된 4,200여 개 과수농가들은 사과 수입이 현실화 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수입 사과가 밀려 들어오면 이를 저지하기 위한 집단행동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강원 홍천에서 17년째 사과를 재배하고 있는 민경율(66)전국사과생산자협회 중앙회 부회장은 “지금은 미국 사과가 수입되려면 검역 8단계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미국은 20여 년간 2단계 밖에 통과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러한 검역절차를 무시하고 사과가 수입된다면 국내 사과 재배농가들은 버틸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강원 정선에서 10년째 귀농해 사과를 재배하고 있는 오세호(58)전국사과생산자협회 정선지회장도 “30~40년 뒤에는 강원지역이 사과 주산지가 될 텐데 이 같은 상황이 당혹스럽다”고 토로했다.

서병진 한국사과연합회장은 “수입사과가 들어온다면 앞으로 과일 물가가 널뛰기해 국민 먹거리가 불안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전국사과생산자연합회에 소속된 강원지역 과수농가 100여 명은 지난달 31일 정부 세종청사를 방문해 사과 수입은 할 수 없다는 원칙을 대외적으로 밝혀 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쌀과 소고기 이외의 나머지 농축산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미국은 농산물 수입 시 절차를 밟아야 하는 국내 수출 위생·검역(SPS) 규제 완화를 꾸준히 요구하고 있어 강원지역 농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강원 홍천 과수농가들이 미국산 사과 수입 결사 반대 피켓을 들고 있다.사진=전국사과생산자연합회 홍천지회 제공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