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한·미 관세 협상 타결 "車 관세 15%·쌀·소고기 추가개방 않기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李대통령 "큰 고비 넘겨···한미동맹 더욱 확고"
트럼프 "2주 후 이 대통령과 백악관서 정상회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기 위해 마이크 앞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15%로 낮아진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이 31일 타결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을 2주 후 개최할 것"이라고 밝혀 조만간 두 정상의 만남도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 각각 SNS에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알렸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같은 발표 직후 긴급 브리핑을 열어 세부적인 합의 내용을 소개했다.

김 실장은 "미국이 한국에 8월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진다"며 "또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말했다.

이어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며 "최혜국 대우를 받는 것으로 적시를 해 뒀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합의의 결과로 조성될 3,500억달러 규모 펀드와 관련해서는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한다"고 설명했다.

또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도 2,000억 달러 조성될 예정"이라며 "해당 분야에도 우리 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다만 "자동차 관세의 경우 한국은 마지막까지 12.5%가 맞다고 주장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15%'라고 주장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민감한 분야로 꼽혔던 농축산물 협상의 경우 "미국의 강한 개방 요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주 후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서 정상회담을 갖겠다" 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구체적 날짜는 곧바로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협의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과의 협상은 국민주권정부의 첫 통상 분야 과제로 큰 고비를 하나 넘었다"며 "이를 통해 한미 간 산업 협력이 더욱 강화되고 한미 동맹도 더욱 확고해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