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강원지역본부가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수용함에 따라, 도내 5개 지방의료원이 파업 방침을 철회하고 진료 정상화에 나섰다.
노조 측은 “전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회의에서 제시된 임금 및 노동조건 개선 조정안을 수용했다”며 “강릉·속초·삼척·영월·원주 등 5개 의료원은 25일 예고됐던 파업 계획을 철회하고, 환자들과 도민들이 있는 현장에 복귀한다”고 24일 밝혔다.
대한적십자사 강원혈액원, 혈액수혈연구원, 혈액관리본부 등도 오는 26~27일 예고됐던 총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조정안 주요 내용은 2025년 공무원 기본급 인상률을 기준으로 임금과 상여금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내 의료원들은 각기 다른 재정 상황으로 인해 일괄 적용은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고, 이에 따라 임금 인상 지급 시기를 각 의료원별로 조율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강원도 내 지방의료원들은 서로 다른 기준의 임금 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원주의료원은 2025년 임금 기준을, 속초의료원은 2022년, 강릉·삼척·영월의료원은 2024년 기준 임금을 각각 적용하고 있다.
도내 의료원들은 장기간 이어진 경영난과 낮은 의료 수가, 지역 간 의료 인력 불균형 등으로 인해 일률적인 조정안 적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노조 측은 도내 의료원에 제도화된 재정지원 체계 마련과 공공병원 ‘착한 적자’에 대한 국가·지자체 공동책임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지역의료 강화 정책 수립 시 노조의 실질적인 참여 보장을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 강원지부 황홍원 조직국장은 “5개 의료원은 당장 파업을 멈추지만, 공공의료 강화와 처우 개선을 위한 투쟁을 멈춘다는 뜻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