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강원 남부권 5개 시군 참여 음식물류폐기물 광역화처리시설 속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전 행정절차 마치고 기본·실시설계 용역 재착수
자재비 인상 등 반영 환경부와 총공사비 상향 논의
태백시 "탄소 중립 실현 위해 올해 하반기 착공 노력"

【태백】강원 남부권 5개 시·군이 참여하는 태백시 음식물류폐기물 광역화처리시설(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시설 설치사업) 사업이 계획 10년여 만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본·실시설계에 들어간 태백시는 올해 안 착공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사업은 태백·동해·삼척·영월·정선 등 강원 남부권 5개 시·군이 국비와 도비, 시비 등을 투입, 태백시 환경자원센터 인근에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8,717㎡의 부지에 전처리시설동, 처리시설동 등 하루평균 80톤의 음식물 폐기물을 처리,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추게 된다.

부지를 제공하는 태백시의 경우 공사비를 부담하지 않는다. 당시 총 공사비는 286억원 규모로 예상됐지만 자재비 상승 등의 요인으로 환경부와 300억원 이상으로 총사업비 조정을 진행,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사업기간의 경우 기획재정부와 2년 연장 논의를 마쳤다. 시는 현재 환경영향평가 등 사전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올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실시·기본설계 용역 재착수에 들어갔다.

태백시 음식물류폐기물 광역화처리시설 사업은 기존 음식물폐기물 처리장이 2001년에 건설돼 내구 연한인 15년을 넘기며 노후화되며 2015년부터 계획됐다. 2016년 기본협약 체결 후 2017년 기본·실시설계 용역을 진행했지만 경석 처리 문제, 사업비 분담 비율 문제 등으로 지연됐다. 지난해 석탄경석 규제 개선 이후 경석이 폐기물에서 제외되며 사업이 다시 급물살을 탔다.

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바이오가스 생산이 의무화 되며 목표량 달성을 위해서는 올해 안 착공이 중요하다"며 "무탄소 청정에너지 도시 태백이 실현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