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1년 5개월 만에 의대생 복귀 선언…“국회와 정부를 신뢰하며 학교로 돌아가겠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12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대위원장이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 발표에 앞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 이선우 비대위원장, 박주민 국회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2025.7.12 사진=연합뉴스
◇12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대위원장(왼쪽부터),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이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발표한 뒤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집단 휴학했던 의대생들이 약 1년 5개월 만에 학교 복귀를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날림이나 압축 없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겠다"며 교육의 질을 강조하면서도, 복귀를 위한 학사일정 정상화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2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의대협은 입장문에서 “국회와 정부를 신뢰하며 모든 학생이 학교로 돌아가겠다”고 밝히고, “의대 교육과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복귀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앞서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가 발표한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단체로 휴학계를 제출하고 수업을 거부해왔다.

상당수 학생은 올해 1학기에도 복귀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전국 40개 의대에서 총 8천305명이 유급 판정을 받았다.

의대는 학사 운영이 연 단위로 이뤄지기 때문에, 일부 대학에서는 올해 1학기 유급 시 내년에야 복학이 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의대생들이 2학기 혹은 그보다 이른 시기에 돌아오기 위해선 학사일정 조정 등 ‘유연한 학사운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선우 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정확한 복귀 날짜를 말하긴 어렵다. 여러 기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교육의 양과 질 모두에서 손해 보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며, 이는 특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앞서 여러 차례 복귀를 유도하는 조치를 내놨지만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던 의대생들이 입장을 바꾼 배경에 대해, 이 위원장은 “지난 정부에서 무너진 신뢰를 오랜 시간 대화를 통해 조금씩 회복해왔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도 함께했다.

이들은 “의대생의 학사 정상화를 시작으로 의료시스템 전반의 회복이 이어지길 바란다”며, 복귀 학생들이 불이익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교육 정상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전 정부 정책으로 인한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에 당사자들의 참여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김택우 회장은 “의료사태로 인해 학생, 가족, 교수, 의료진, 국민 모두 큰 고통을 겪었다”며 고개를 숙였고, “이제는 의학교육이 단순한 회복을 넘어 혁신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호 위원장은 “의대협이 제안한 학사 정상화 방안을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 전달했다”며, “학교별 상황은 다르겠지만 이번 복귀 선언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국회와 의협은 입장문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실무 논의기구를 빠르게 구성해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