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협상 결렬…'역선택 방지' 조항 두고 첨예한 갈등 드러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金측 "지지 정당 물을 필요 없어"…韓측 "민주당이 선출하는 것"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5.8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 측의 단일화 협상이 9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렬됐다.

양측은 여론조사 방식, 특히 '역선택 방지 조항'을 둘러싸고 의견 차이를 보이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양 캠프의 첫 협상은 이날 오후 8시 30분 국회에서 시작됐지만, 불과 20여 분 만에 중단됐다.

이후 오후 10시 33분 협상이 재개됐지만, 약 30분 만에 다시 종료되며 단일화 논의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핵심 쟁점은 여론조사 방식이었다.

한 후보 측은 국민의힘 경선 룰인 '당원 50%, 국민여론조사 50%' 방식을 제시한 반면, 김 후보 측은 '국민여론조사 100%'를 고수했다.

특히 역선택 방지 조항을 두고 첨예한 갈등이 드러났다.

김문수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국민의힘 후보가 무소속과 단일화를 논의하는 상황에서 정당 지지 여부를 묻는 건 근본적으로 잘못된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이번 단일화는 국민의힘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이라며, 역선택 방지 조항이 없는 여론조사 방식에 대해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를 뽑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협상장에는 이양수 당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으나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며, 당 지도부는 중재에 나서지 않았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당 입장에서는 양측 협상이 우선”이라며 “당이 직접 중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단일화 협상이 무산될 경우 지도부가 후보 교체 절차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협상이 최종 결렬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비상대책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후보 교체 안건이 상정·의결될 것으로 보인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