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일반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발효…한국 수출업계 ‘긴장’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부터 공식 발효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 내용대로, 미국 동부시간 기준 이날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 1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앞서 외국산 완성차에 대한 25% 관세는 이미 지난달 3일부터 시행 중이다.

다만, 미국에 생산시설을 갖춘 자동차 제조사들의 부담을 고려해 일부 완화 조치도 함께 발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수정 포고문을 통해, 미국에서 조립된 차량 가격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는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1년간 관세가 면제되며, 내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이 기준이 10%로 축소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및 부품 관세가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부과된 다른 관세(알루미늄, 철강 관세 등)와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특정 품목이 두 가지 이상 관세 대상일 경우 자동차 및 부품 관세를 우선 적용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처럼 당초 계획보다 일부 완화된 조치가 도입되면서 한국 부품업계는 다소 숨통이 트였지만,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구조상 전반적인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관세 인상으로 인해 완성차의 소비자 가격이 오르면, 외국산 부품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증가했다.

또한 미국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산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로, 수출액은 135억 달러(약 19조 원)에 달한다.

세부 품목별로는 전동화 부품(배터리·모터 등) 30억 달러, 새시 및 구동축 부품 30억 달러, 전자·전기 부품 25억 달러, 차체 및 관련 부품 23억 달러, 엔진 및 부품 13억 달러, 타이어 및 튜브류 8억 달러 등으로 구성돼 있다.

◇평택항에서 수출 선적을 기다리는 한국산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