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건설현장에서 안전불감증에 따른 근로자 사망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 이처럼 건설재해가 계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공사현장에 대한 부실한 관리·감독으로 근로자는 물론 일반 주민들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
23일 도내 한 관광지 주차장에서 진행중인 건설현장에는 작업장과 차량 통행로가 제대로 구분되지 않아 대형 공사장비들 옆으로 차량들이 지나다니는 위험한 상황이 계속됐다. 또 아파트단지 인근의 상가 신축현장에도 펜스나 가림막 등 안전시설물 없이 공사자재들이 널부러져 있어 근로자들은 물론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협했다.
실제 올해 3월21일 낮 12시께 강원도 원주시의 한 축사에서 지붕 보수작업 중 채광창이 깨지며 근로자가 6m 아래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월16일 밤 9시22분께 삼척시의 한 역사 선로에서 모터카 하부장치 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모터카와 레일사이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도 있었다.
설현장 사망사고 등 건설현장 재해가 이어지고 있지만 안전불감증이 여전한 셈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강원지역 중대재해 사망자(잠정통계+확정통계) 수는 2022년 34명, 2023년 27명, 2024년 27명, 2025년 4월 현재 12명 등으로 3년여간 총 100명에 달한다.
정부의 안전관리대책도 무용지물이다. 건설현장의 사망사고 발생시 사고 빈발작업 제도 개선, 현장 안전관리 강화 등의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부실한 관리·감독이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장 근로자들은 총 공사비에 안전시설물 설치 등 안전관련 비용을 필수경비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강원본부 관계자는 “적정 공사비를 확보하지 못한 건설사들이 예산절감을 이유로 안전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다”며 “공사비 현실화를 위한 입찰제도 개선을 통해 근로자와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