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6·3대선]강원공약, 비슷한 과제 다른 전략…‘책임’ vs ‘재설계’ 노선 갈린 정치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선택, 대선 흔든다 (3)
국민의힘, 윤석열 정권 공약 계승 책임 정치 강조
민주당, SOC·미래산업 현안 이어가며 차별화 고민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직원이 사무실 벽면에 제21대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본경선 후보 확정을 알리는 공고문을 붙이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특별자치도가 6·3 대선을 앞두고 선거 공약으로 23개 현안과제를 선정해 정치권에 제안한 가운데 정당별 대응 전략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권이 내세웠던 강원지역 공약들을 책임지고 마무리하겠단 입장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정권교체를 전제로 새로운 방향의 공약을 내놓으며 차별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강원, 책임정치 강조=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약속된 7대 강원공약이 완성되지 못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제20대 대선 당시 강원지역에 △강원경제특별자치도 설치 및 규제개혁 △고속 교통 네트워크 구축 △5대 권역별 신성장 산업 육성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 △오색케이블카 건설 등 5대 거점별 관광테마개발 △강원도 탄소중립특구 조성 △기후변화 대응 농·임·수산업 등 7대 공약을 내놨다. 이중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고속도로망 구축, 오색케이블카 등은 성과를 달성했지만 대부분 사업은 계획 단계에 머물고 있다. 공약안은 김진태 도정의 제안 내용을 반영하는 동시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강원 공약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재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다.

■민주당 강원, 도민 수요 중심 자체 전략=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강원자치도가 공약안을 발표하기 전인 이달 초 이미 자체적으로 정리한 강원 공약안을 중앙당에 제출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2월 지역위원회 단위로 맞춤형 공약 사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교통, 산업, 의료, 환경 등 각 분야에서 강원지역 고유의 필요를 반영한 정책을 공약안에 담았다. 대표 공약으로는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 △국방산업클러스터 조성 △지방분권 실현 △시·군별 산업 특화 △닥터헬기 도입 △수소·풍력·수열 기반 그린에너지 메카 조성 등이 포함됐다. 특히 닥터헬기와 그린에너지 공약은 민주당 특유의 색이 담긴 신규 과제다. 이들 과제는 정권교체 이후 강원에 필요한 정책을 민주당만의 시각으로 새롭게 설계한 결과이기도 하다.

■공약 유사성 속 전략 차별화=각 정당이 내놓은 공약은 상당수가 겹친다. 이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정책을 제시하기보다는 우선 순위를 달리해 차별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3년 전 제20대 대선 당시에도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동일한 특별자치도 현안에 대해 각각 ‘경제’와 ‘평화’를 앞세워 정책 색깔을 갈랐다. 이번 대선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경선 결과에 따라 주요 공약이 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선 지역 차원에서 전략적인 접근과 새로운 이슈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강원 공약이 단순히 숙원사업 정리로 끝나선 안 된다”며 “정치권이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의제를 지역에서 먼저 만들어내야 치열한 공약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