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건설 수주 1년 만에 87% 급감, 특단의 대책을

강원지역 건설경기가 사상 최악의 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2월 도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336억4,200만원으로, 불과 1년 전과 비교해 무려 86.8%나 급감했다. 이는 강원 경제 전반에 커다란 경고음이 울리고 있음을 뜻하는 수치다. 공공과 민간을 가릴 것 없이 수주가 모두 급락한 것은 일시적인 부진이 아니라 구조적 위기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은 배가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확대되면서 상반기에는 도내 건설 수주 실적이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상황은 급변했다. 공공부문은 도로·기계설치 등의 수주 감소로 전년 대비 84.9% 줄었고, 민간부문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여파로 85% 넘게 감소했다. 이처럼 수주 절벽이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강원 건설업계는 유례없는 혹한기를 보내고 있다. 폐업 신고가 속출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도내 건설업체 중 총 54곳(종합 4곳, 전문 50곳)이 폐업을 신고했다. 특히 전문건설업체 22곳이 3월부터 지난 15일까지 문을 닫았다. 이는 자재비 상승, 원가 부담 증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금융 경색 등으로 유동성 확보에 실패한 업체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건설업은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산업이다. 건설업 붕괴는 지역경제 전반의 동반 침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강원도는 광역지자체 중에서도 건설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이다. 산업기반이 아직까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에 크게 편중돼 있어 건설경기 부진은 지역경제의 뿌리를 흔드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일용직 비중이 높은 만큼 생계와 직결되는 일자리의 급감은 지역사회 복지 체계마저 위협하는 요인이다. 정부와 강원특별자치도는 상황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무엇보다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이 중요하다. 지역 SOC 예산의 조기 집행을 통해 시장에 숨통을 틔우고, 공공발주 사업을 확대해 건설업계의 연착륙을 유도해야 할 때다. 기존에 계획된 사업이라도 설계 지연이나 예산 미집행으로 표류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이런 현장을 점검하고 행정 병목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하다. 민간부문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 최근 PF대출의 부실화 우려로 금융기관들이 자금 회수에만 몰두하면서 중소 건설사의 자금줄이 막히고 있다. 이에 금융 당국은 건전한 사업성 검토를 거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채권 연장이나 이자 유예 등의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