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금융감독원·교도관·군인 사칭 보이스피싱’에 강원도 전역 피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춘천 주방용품 판매업체에 다른 물품 대납 요구
원주 한 자영업자는 1,800만원 가량 피해 발생
강릉에서도 수사기관 빙자 공무원에 수표 전달
경찰·공공기관 주민들과 자영업자에 주의 당부

◇사진=연합뉴스.

군 간부 사칭에 이어 교도관과 수사기관 공무원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범죄로 주민과 자영업자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10일 춘천에서 주방용품 판매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춘천교도소 교도관이라는 남성으로부터 수백만원의 주방용품 납품을 요청받았다. 이 남성은 A씨에게 물품을 구매하는 것처럼 꾸민 위조된 공문서와 사업자등록증까지 보내면서 다른 업체의 물품에 대한 대납을 요구했다. A씨가 춘천교도소에 사실관계를 문의하면서 실제 피해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반면 지난달 28일 원주의 자영업자 B씨는 자신을 원주교도소 직원이라고 소개한 남성이 “방화복업체에 대납해주면 A씨 업체의 물건을 수의계약하겠다”는 말에 속아 1,800만원 가량을 빼앗겼다.

이에 앞서 강릉에서는 C씨가 금융감독원과 검사 등을 사칭한 범죄조직에 속아 1억2,700만원 상당의 수표를 조직 현금 수거책에게 전달했지만 경찰이 신속하게 수표 지급을 정지, 실질적인 금전적인 피해는 없었다.

각 공공기관과 경찰은 보이스피싱 조직의 잇단 공무원을 빙자한 범행에 주민과 자영업자의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강원경찰청이 집중수사관서로 지정되어 전국의 사건을 병합해 수사중인 ‘군 간부 보이스피싱’은 강원지역 15건을 포함해 전국에서 총 315건이 확인됐고 피해금액은 34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왔다. 교도관 사칭 범죄 건수와 피해금액은 아직 정확한 통계가 집계되지 않고 있다.

박한구 춘천교도소 총무과장은 “교정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으니 의심스러운 경우 송금 전에 반드시 교정기관에 문의하여 진위 여부 확인하기 바라며 교정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대리구매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