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내수부진, 국내외 정치적 혼란에 숙박·음식점업 위기

도내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 올들어 감소세 전환
업계 취업자도 코토나 팬데믹 시기보다 2만여명 줄어

강원일보db

강원지역 숙박·음식점업의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내수 부진이 전혀 해결되지 못한 상황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국내 정치적 혼란 등에 따른 소비 심리가 위축된 탓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 5월부터 감소양상을 보이며, 22개월째 단 한 번도 반등하지 못했다.

강원지역도 역대급 경기 한파로 숙박·음식점업의 생산이 얼어붙었다. 지난해 4분기 도내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전분기보다 8.0% 줄어든 136.8로 집계됐다. 강원지역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지난해 2분기부터 증가해 왔으며, 같은해 3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18.5% 늘었다. 하지만 탄핵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 확산 등의 여파로 올들어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음식점업의 경우 줄폐업이 이어졌다.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를 살펴보면 지난해 도내 일반음식점업 3,176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2,729곳)보다 16.4%,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2,187곳)보다도 많은 숫자다. 일반음식점업 폐업은 2013년(3,460곳) 이후 11년만에 3,000곳을 넘기며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업계 취업자도 줄었다. 올 1분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16만8,000명으로 코로나 팬데믹이 본격화된 2020년 동분기 19만1,000명보다 2만3,000명 감소했다. 또 올해 1월부터 최저임금이 1만30원으로 오르는 등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9월부터 7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조기 대선, 미국의 막무가내식 관세 폭탄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소비 심리가 약해지고 있어 내수 부진이 고용 위기로 악순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소비 부진이 계속된 상황에서 미국 관세 폭탄으로 기업 투자와 고용이 위축된 상황”이라며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더 강한 자영업 불경기가 찾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