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한 가운데, 사고 직후 고립된 20대 근로자가 13시간여만에 구조됐다.
12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20대 굴착기 기사 A씨는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께 발생한 붕괴 사고로 지하 30여m 지점에 고립돼 있다가 밤샘 구조작업 끝에 이날 오전 4시 27분께 무사히 구조됐다.
A씨는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의식이 비교적 또렷한 상태였으며, 구조대가 그의 몸을 짓누르고 있던 잔해를 제거하는 동안에도 구조대원들과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장시간 잔해에 깔려 있었던 만큼, 더 정확한 검사를 위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구조대원들은 사고 초기에 A씨와 전화 통화 위치를 파악해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이 접근했지만 붕괴 현장 특성상 중장비를 투입할 수 없어 구조가 지연됐다.
이번 사고는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사고 초기 근로자 18명 중 5명이 연락이 닿지 않았지만, 이 중 3명은 안전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2명 중 1명은 구조되었고,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50대 공사 근로자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실종된 근로자에 대한 수색 작업은 사고 발생 이틀째인 이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휴대전화 위치 추적 등을 통해 실종자의 위치를 파악 중이다.
사고 이후 광명시는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고 현장 주변 주민들을 대피시키며, 대피소로 이동한 주민들은 인근 아파트 642세대 2,300명과 오피스텔 주민 144명 등 2,400여 명에 달했다.
이들은 대부분 친인척이나 지인 집으로 피신했으며, 시가 지정한 대피소인 시민체육관과 학교 7곳에서 밤을 지새웠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사고 현장 주변 아파트에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안전을 확인해왔다"며 "어제와 오늘 사이 변동은 없었고, 전문가들과 함께 계측 결과를 살펴본 후 아파트 입주 가능 여부를 판단해 알리겠다"고 전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이며, 국토교통부는 사고대책본부를 꾸려 대응하고 있다. 신안산선 민간투자사업 사업시행자인 ㈜넥스트레인도 현장에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한 상태다. 경기남부경찰청은 형사과를 중심으로 사고 원인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시작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