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대선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정치 변두리에 머물렀던 청년층이 유권자 지형의 핵심 변수로 급부상 하고 있다. 인구 구조 변화로 진보 성향이 짙은 4050세대와 보수 성향의 60대 이상 유권자가 팽팽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진영도 2030세대의 표심 없이는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의 중심에 선 청년들=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탄핵 촉구 집회에선 20대 여성들이 아이돌 응원봉을 들고 주도적으로 나서 주목 받았다. 팬덤 문화의 상징이던 응원봉은 정치적 도구로 재해석되며 청년들의 조직적이고 감성적인 시위 방식을 대변했다. 보수 진영에서도 청년들은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일부는 조직적으로 움직이며 서부지법 폭동사태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청년들의 정치 참여는 각 지역 대학에서도 이어졌다. 강원대, 한림대, 춘천교대, 강릉원주대 등 도내 주요 대학에서 탄핵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시국선언이 연이어 발표됐고 대자보가 붙었다. 청년층을 더 이상 ‘정치 무관심층’으로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해진 셈이다.
■유권자 구성 변화…선거 변수=고령화에 따라 인구구조에 변화가 나타나며 청년층의 중요도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 이상 유권자층이 급격히 늘면서 진보성향이 강한 4050세대 투표자 비중을 역전, 캐스팅보트로서 청년층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대선 당시 도내 4050세대 인구는 51만3,055명으로 도내 전체인구의 33%를 차지했다. 당시 60대 이상 인구는 39만7,313명으로 26%에 그쳤다. 하지만 2022년 대선에선 4050세대가 49만6,526명(32%), 60대 이상이 49만9,873명(32.5%)으로 비슷해졌다. 해당 수치는 점점 벌어져 지난해 인구 통계에서는 60대 이상 인구가 52만9,090명(34.8%)를 기록, 4050세대 인구 46만1,536명(30.4%)를 역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구도 속 성향이 갈리는 2030세대의 선택이 선거 결과를 결정 지을 수밖에 없는 구도가 됐다. 특히 청년층 투표율이 올라가며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30대 대선 투표율은 16대 62.2%에서 17대 51.3%로 낮아졌으나 18대 69.5%, 19대 75.2%, 20대 70.9%를 기록, 70%대까지 올라섰다.
■정치권 갈등 활용 경계해야=대선 정국 속 정당들은 청년층을 향한 적극적인 구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거대 양당은 각각의 지지층을 지키면서도 상대의 청년표를 빼앗기 위한 정교한 전략을 짜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청년층은 주거, 일자리, 취업 등 실질적 문제에 민감해 이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각 당의 공약이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다만 정치권이 청년층의 성별과 이념 차이를 과도하게 부각하거나 성별 대결 구도를 조장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