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6·3대선]‘폐광지 활성화’ 40년 사골 공약…6월 국내 마지막 도계 폐광 앞두고 ‘산업화’ 공로 인정받아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운명의 두 달, 강원 위상 키우자(3)

폐광 개발 지원 특별법 제정 이후에도 인구 10만명 감소
24년 국내 최대 태백 장성 이어 6월 말 마지막 도계 폐광
첨단산업 전환, 광부 위상·석탄문화 기릴 공약 발굴해야

◇태백 장성광업소 제2수갱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윤석열, 이재명…최근 10여년 간 ‘폐광지역 활성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대통령 선거 후보자들이다.

1980년대 석탄산업합리화 정책과 구조조정 이후 폐광지를 살리겠다는 공약은 대선, 총선, 지선 등 모든 선거에 공약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1995년 폐광 지역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폐특법) 제정 당시 태백, 영월, 정선, 삼척 폐광지 인구는 26만9,000명에서 현재 16만9,000여명으로 10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강원 남부 폐광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속교통망이 없는 지역이다.

폐광지 소멸 시계는 더욱 빨라지고 있지만 활성화에 대한 약속은 매번 공(空)약에 그쳤다.

지금 폐광지역의 상황은 예년과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절박하다. 오는 6월 말 국내 마지막 국영 탄광인 삼척 도계광업소가 폐광한다.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석탄산업 100년의 역사가 막을 내린다.

삼척 도계 주민들은 생존권 보장을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으나 이마저도 대선과 시기적으로 겹치며 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에서 멀어질 가능성이 높다. 강원특별자치도와 폐광지역 시·군, 지역 정치권은 힘을 모아 대선주자들로부터 폐광지 첨단대체산업 전환, SOC 확충의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

7,168억원대 폐광지 대체산업은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고 있다. 태백시는 4,001억원을 투자해 청정메탄올 생산·물류기지, 핵심광물 산업단지 등 미래자원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삼척시는 3,167억원을 투입, 도계 일원에 중입자가속기 기반 의료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산업화의 가장 큰 축이었던 석탄산업과 광부들의 위상을 다시 세우고 대한민국만의 독특한 석탄문화와 유산, 지역정체성 등 역사적 가치도 살려야 한다.

전 세계 17개 탄광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폐광 이후에도 꾸준히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