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고령친화도시 인증, 새로운 시작

박윤미 도의회 부의장

3월17일 강원특별자치도는 시·군이 있는 광역도 단위 최초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 인증을 받았다. WHO의 ‘고령친화도시’는 고령화와 도시화라는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국제적 프로젝트로 고령자들이 안전하고 존엄성을 유지하며 건강하게 나이 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인증을 위해서는 외부환경 및 시설, 교통수단, 주거환경, 지역돌봄 및 보건의료서비스 등 8대 영역에서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고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

이번 인증 획득은 강원자치도가 고령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활동적인 노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다. 우리 도가 미래산업 글로벌도시로 도약하고 있음을 확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특히 필자는 강원자치도의회 ‘고령친화도시 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고령친화도시 조성 지원 조례를 대표 발의하는 등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노력해 왔기에 이번 인증이 더 뜻깊게 느껴진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국가 중 하나다. 2024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섰다. 특히 강원자치도를 포함한 일부 지역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분류되며, 노인 단독 가구 증가와 출생률 감소 등 인구 구조 변화가 뚜렷하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부담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복지 시스템의 재구성을 요구하며, 특히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세계 각국의 도시들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혁신적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 아키타시의 경우 고령자들을 지원이 필요한 대상이 아닌 사회를 지원하는 주체로 인식하고,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스웨덴 예테보리는 ‘수다 벤치’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 간 소통을 촉진하고, 고령자들의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고 있다. 필자는 이번 인증을 필두로 강원자치도가 발전된 고령친화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통합적 접근 강화다. 고령친화도시는 단순히 고령자만을 위한 도시가 아니다. 모든 세대가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세대 간 이해와 화합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고령화 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과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령자의 사회 참여 확대다. 고령자의 경험과 지혜를 사회에 환원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다양한 유형의 봉사 기회를 제공하고, 유급 노동 기회도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들이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존중받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스마트 기술 활용의 확대다. 스마트 기기 사용 교육을 확대하고, 고령자 친화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원격 의료 서비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복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군별 맞춤형 전략 수립이다. 강원자치도의 각 시·군은 지리적·문화적 특성이 다양하다. 따라서 도 차원의 통합 정책과 함께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에서 준비 중인 고령친화도시 인증 매뉴얼을 각 시·군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고령친화도시 인증 획득은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다. 이를 새 이정표로 삼아 강원자치도가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진정한 의미의 고령친화도시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