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충북, ‘오송연결선’ 완성 위해 철저 공조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7월 발표
강원·충청·호남지역 획기적인 교통 혁신
양 지역 국회의원 협력 이끌어 내 이슈화를

향후 10년간 추진할 국가 철도 사업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이 이르면 오는 7월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계획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사업 중 하나는 강원, 충청, 호남을 고속철도로 잇는 ‘오송연결선’이다. 이 사업이 확정될 경우 강원특별자치도는 물론 충청과 호남지역도 획기적인 교통 혁신을 맞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강원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는 오송연결선의 반영을 위해 철저한 공조를 통해 중앙정부를 적극 설득해야 한다. 오송연결선은 충북 오송역 인근에서 분기해 경부고속철, 호남고속철과 충북선을 연결하는 13㎞ 구간이다.

특히 충북선 철도는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돼 사업이 확정된 원주~만종연결선을 통해 강릉선과 연계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오송연결선만 구축된다면 강릉~청주~목포를 잇는 ‘강호축’ 철도망이 최초로 완성된다. 뿐만 아니라 태백선 철도 고속화 사업이 확정될 경우 목포~제천~폐광지역~동해까지 3시간대 연결이 가능해지고, 제천~평창 철도 사업까지 가시화된다면 강릉~목포 간 이동시간은 더욱 단축된다.

이렇듯 오송연결선은 강원과 호남을 연결하는 강호축의 완성을 위한 ‘핵심 톱니바퀴’ 역할을 하게 된다. 때문에 강원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는 오송연결선의 필요성을 중앙정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야 한다. 우선, 공동 연구 및 자료 분석을 강화해야 한다. 두 지역은 오송연결선이 가져올 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해야 할 때다. 특히 강원과 호남의 관광, 물류, 산업 발전 가능성을 구체적인 수치와 데이터로 입증하고,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업임을 강조해야 함은 물론이다. 현재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은 중앙정부의 주요 과제다. 수도권 집중은 국민 화합을 위해서도 완화시켜 나가야 한다.

강원과 충청, 호남을 잇는 오송연결선이 구축될 경우 서울을 거치지 않고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철도망이 형성돼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논리를 적극 어필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공동 건의 및 정치적 협력이다. 즉, 강원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는 공동으로 국토교통부 및 중앙정부에 건의서를 제출하고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해 국회 차원의 지원을 끌어내야 한다. 특히 강원권과 충청권을 대표하는 의원들이 국회에서 오송연결선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할 수 있도록 정치적 공조를 공고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자치단체 및 시민사회 연대도 중요하다. 오송연결선이 포함된 5차 국가철도망 계획의 성공적인 반영을 위해 강원과 충청 지역의 자치단체 및 시민사회단체가 힘을 모아 대정부 활동을 벌여야 한다. 공청회 개최, 서명운동, 언론 홍보 등을 통해 각 지역 주민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중앙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일 때 ‘오성연결선’은 실현될 수 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