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이 경색되면서 강원지역에서 거래되지 않고 쌓인 아파트 매물이 3년 만에 1만여건 늘었다. 전체 물량도 2만건을 넘겼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8일 기준 도내 아파트 매물은 총 2만635건으로 지난해(1만7,468건)보다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전인 2022년(1만790건)보다는 1만건가량 급증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문전성시를 이뤘던 아파트가 이제는 찾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한국부동산원 행정구역별 아파트거래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12월 도내 아파트 거래는 2,210건으로 한 달 새 1,000건 급감했다. 1년 전 같은 기간(4,144건)의 절반 수준이다.
아파트 거래가 줄어든 이유는 대출 규제 강화와 탄핵 정국 여파로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심리가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들어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택시장소비심리도 1년 전보다 크게 위축됐다. 실제로 지금 시장에서는 급매가 아니라 가격을 낮춘 급매만 일부 거래되고 있다. 급매물은 가격 하락 폭만 부채질할 뿐이다. 거래가 되살아나야 집값도 안정된다. 부동산 시장이 예상보다 훨씬 더 침체돼 하락세가 이어지면 깡통 전세와 깡통 주택도 발생된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그야말로 도내 부동산 시장은 뒤죽박죽이 된다. 당장 대출을 활용해 집을 산 사람들은 빚더미에 오르고 있다. 거래가 멈추면서 서민들은 더 힘들어지고 있으며 부동산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아파트 거래 절벽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국토연구원의 ‘2025년 1월 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에서 도내 주택매매시장 심리지수는 102.2로 전년 대비 11포인트 떨어졌다. 주택전세시장심리지수도 1년 새 7.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부동산경기가 가라앉고 지역경제에도 찬물을 끼얹고 있다. 극단적인 거래 절벽이 지역경제의 위기로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주택 문제는 민생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 급랭은 고용 및 연관 산업 파급효과가 큰 건설경기 침체, 소비 감소, 실업률 상승 등 부작용을 연쇄적으로 불러올 수 있다. 발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부동산 정책은 시장의 움직임을 살펴 적시에 풀고 조이는 시의성이 요구된다. 각종 규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면밀히 검토한 뒤 거래 시장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불필요한 것 또한 함께 풀어 가야 시너지 효과도 생기고 부동산 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