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리왕산 곤돌라 존치를 둘러싼 논란은 격화소양, 즉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 답답한 상황’이다. 산림청은 ‘가리왕산 합리적 보전 활용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며 곤돌라 존치 여부를 놓고 환경단체와 주민단체의 합의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양측은 서로의 입장에서 한 치의 물러섬 없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곤돌라 운영은 지난해 말 한시 운영 기간이 끝났고, 존치 여부 결정을 위해 6개월간 추가 연장해 놓은 상태다. 구체적인 해결책 없이 시간이 흐르는 모습은 주민들에게 실망과 불안은 물론 소외감마저 느끼게 하고 있다. ▼가리왕산 곤돌라는 단순한 관광 시설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2018년 동계올림픽의 유산으로서 2023년과 2024년 두 해 동안 40만명에 달하는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경제에 큰 기여를 했다. 특히 이동 약자와 고령 인구까지 정상의 풍경을 즐길 수 있게 한 곤돌라는 ‘접근 가능한 자연의 상징’이 됐다. 반면, 환경단체는 가리왕산의 생태계 원상 복구를 주장하며, 상부 시설 철거와 대안 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자연 생태계는 시간이 지나며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을 발휘하고, 가리왕산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방해하지 않고 복원을 지켜보는 것 역시 환경 보존의 원칙 중 하나임에 분명하다. ▼문제는 양측의 주장만 반복되며 실질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제는 경제와 환경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때다. 예를 들어 10년이고 20년이고 자연천이가 진행되는 동안 곤돌라를 가리왕산의 생태 교육 시설의 하나로 활용한다면 방문객이 자연 복원의 과정과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고, 곤돌라는 ‘보전과 활용’의 접점을 찾는 상징적인 시설이 될 수 있다. ▼이제 협의체는 말뿐인 논의를 넘어서야 한다. 가리왕산은 지역경제와 환경 보전이 함께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지속 가능한 발전의 방향을 찾아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결론에 도달해야 한다. 격화소양의 답답함을 넘어서 진정한 ‘공존의 길’을 열어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