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道 초교 입학생 9,000명도 위태, 대책 시급하다

강원지역 초등학교 입학 대상 아동 수가 9,000명 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새 학기 초등학교 취학 대상 아동은 2022년 1만1,960명에서 2023년 1만1,047명, 2024년 9,824명으로 계속 감소하다 올해 다시 736명(7.49%) 줄어든 9,088명을 기록했다. 이는 3년 전인 2022년과 비교하면 무려 2,872명(24%) 급감한 수치다. 문제는 앞으로 더 감소한다는 것이다. 도교육청 교육연구원이 장래 입학생 수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인공지능(AI) 전문가 심성현 동의대 산업경영빅데이터공학과 교수에 의뢰해 진행한 정책연구에서 2037년 도내 전체 초교 입학생이 3,358명에 불과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는 올해 초교 입학생 수 3분의 1 수준이다. 인구 절벽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도내 학생 수가 계속 줄어들면 지역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는 물론 학교 통폐합, 인구 감소, 지역 황폐화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교육 당국과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학생 수 축소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학생 절벽은 재앙이다. 학생 수 감소는 초교에서 시작돼 중·고교로 확산된다. 학교는 단순히 학생들을 가르치는 장소가 아니다. 마을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구심점이자 나아가 소통과 어울림의 터전이다. 마을과 함께한 역사의 현장이다. 학생 수 감소를 막고 지역의 학교를 살리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축에 대해 ‘제로섬’식 통폐합이 아닌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연계, 학교를 재구조화하는 연구와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학생들이 돌아오는 학교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학생 감소는 학교 통폐합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져 지역 소멸을 가속화한다. 최우선 과제로 삼아 대책을 세워야 하는 이유다. 저출산·고령화와 청년층의 지역 유출 여파로 인해 출생아가 줄어드는 것은 지역 주민들을 절망하게 만든다. 저출산이 지자체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나날이 심각해지는 지역의 인구 감소에 실효성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시와 달리 지방은 아이를 낳고 키우기에 여러 여건 자체가 매우 열악하다. 지역의 출생률 급락은 결코 지엽적인 문제가 아니다. 더 늦기 전에 출생아 수 늘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