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부청사 1인시위 나선 삼척 폐광지 주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6월 폐광 앞두고 주민들 불안감 고조
의료클로스터 기반구축 등 폐광 경제진흥사업
1년 넘도록 결정 지연 등
“주민들 불안 해소, 정주의식 제공해야”

【삼척】속보=폐광지역 주민들의 생존권 투쟁(본보 지난 6·9·10일자 14면 보도)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어떤 대안을 제시할 지 주민들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도계읍번영회 등 주민들은 지난 6일부터 생존권 투쟁에 나서, 9일에는 세종시 정부 종합청사에서 기재부와 산자부를 상대로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이는 정부와 노사 주도로 석공 폐광을 결정한 뒤, 삼척시가 제안한 중입자가속기 등 의료클러스터 기반 구축사업을 조기 폐광에 따른 경제진흥사업으로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으로 선정하고도 1년이 넘도록 결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주민들은 KDI가 진행중인 예비타당성 용역을 아예 면제사업으로 변경하던가, 석공 폐광이전에 사업추진 결정을 내려야, 폐광주민들이 동요없이 정주의식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사)10.10 기념사업회 도계읍번영회와 석공 폐광반대 투쟁위는 지난 9일부터 진행중인 정부 청사에서 1인 시위는 물론 오는 24일까지 집회를 이어가면서 단식 농성 및 태백 등 폐광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한편 마을 이장직을 맡고 있는 석공 근로자 일부가 지난 9일 세종시 정부청사 집회에 참여한 것을 두고 석공측이 결근으로 처리하자, 도계읍 번영회와 석공 노동조합이 반발하는 등 갈등을 촉발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김광태 도계읍 번영회장은 “석공 폐광 결정 이후에 폐광주민들의 동요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고 있어 석탄산업과 견줄만한 사업이 조기에 확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폐광지역 주민들이 지난 9일부터 세종시 기재부와 산자부 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폐광지역 주민들이 지난 9일부터 세종시 기재부와 산자부 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