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시대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의 지도를 다시 그리고 있다. 오는 31일 삼척역에서 개최되는 동해중부선 개통식은 강원, 경북, 경남, 부산을 직선으로 잇는 초광역경제권의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1월 1일 삼척~포항 철도가 개통되면 강릉부터 부산까지 370㎞에 이르는 고속철도망이 완성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교통수단의 혁신을 넘어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지역이 경제, 관광, 산업 전반에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는 계기가 된다. 이번 동해선 개통은 이동 시간을 단축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동해안은 그동안 고속철도망에서 소외된 지역으로, ‘등 긁어도 손 닿지 않는 곳’이라는 자조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 개통을 통해 철도교통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열었다. 강릉에서 부산까지 환승 없이 3시간 52분 만에 연결되고, 삼척~포항 구간도 55분으로 단축된다. 향후 강릉~고성~ 제진 간 동해북부선이 완공되면 부산에서 강원 최북단까지 고속철도망이 완성돼 동해안 전역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일 전망이다.
경제적 효과도 크다. 우선 물류와 산업의 기반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동해안을 따라 위치한 항구와 산업단지는 철도망을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관광 산업 역시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서울과 부산에서 강원 동해안으로의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사계절 관광지로서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다. 그러나 이번 개통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강릉~동해~삼척 45㎞ 구간은 여전히 시속 60㎞대의 저속 운행으로 인해 전체 운행 시간을 늘리는 병목 지점으로 남아 있다. 이는 고속철도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2026년 KTX-이음 열차가 투입되면 운행 시간이 1시간가량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단기적인 대책에 불과하다. 정부와 강원특별자치도는 해당 구간의 노후 철도 시설을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 철도 노선의 전면적인 개보수를 통해 최고 시속 260㎞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긴밀한 협력과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고속철도망을 활용해 특화산업 육성에 매진해야 한다. 동해안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때다. 숙박, 교통, 문화 콘텐츠 확충도 서둘러야 한다. 또한 부산과 경북 지역과의 협력을 통해 동해안을 하나의 관광벨트로 홍보하는 전략이 절실하다. 고속철도의 효과는 주민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철도 인프라 개발과 함께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환경 개선 사업을 병행해야 한다. 철도역 주변 상권 활성화, 주차시설 확충, 대중교통 연계를 통해 주민들의 접근성과 편의를 증대시켜 나갈 때 고속철도 시대 효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