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대청봉] 가리왕산 곤돌라 존치, 더 이상 논쟁의 대상이 아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김영석 정선주재 부국장

가리왕산 곤돌라 영구 존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협의체가 또 다시 만들어지며 논의에 돌입했다. 정선의 유일한 동계올림픽 유산으로 남아있는 가리왕산 곤돌라를 ‘철거하느냐?’ 존치해서 정선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느냐?’의 여부를 판가름하기 위한 논의다.

2018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6년 8개월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철거냐 존치냐를 놓고 주민과 환경단체는 논쟁만 벌였고, 정부는 이를 해결하지 못했다.

‘가리왕산 합리적 복원을 위한 협의회’는 첫 3년 동안 14차례의 회의를 거치면서 ‘곤돌라 3년 한시 운영’이라는 땜질식 처방만 내놓고 해산됐다. 곤돌라가 한시 운영되는 동안 산림청은 ‘가리왕산 곤돌라 유지 여부 평가기준 마련’ 용역과 ‘가리왕산 문화유산 본존과 효과적 활용 등 산림효용 극대화 방안 연구 용역’이라는 십 수 억원 짜리 용역을 실시했지만, 결론은 커녕 또 다시 ‘가리왕산 합리적 보전·활용 협의체’라는 이름만 바꾼 협의체에 최후 결정을 맡겼다.

참으로 야장몽다(夜長夢多)가 아닐 수 없다. 밤이 길면 꿈이 많고, 장고 끝에 악수가 나온다는 격언이나 사자성어가 괜히 있는 말은 아닌가 보다.

가리왕산 곤돌라의 존치 이유는 분명하다. 첫째 더 이상 철거의 명분이 없다. 환경단체가 가리왕산 복원을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였던 ‘유전자 보호구역’의 경우 활강경기장 시설 당시 33㏊에서 사업이 이뤄졌고, 산림청은 곧바로 2015년에 17.6배에 이르는 584㏊의 인근 지역 산림을 ‘유전자 보호구역’으로 대체 지정했다. 유전자원보호구역 복원을 논하기에는 지역에 너무나 큰 족쇄를 채웠다.

더욱이 올림픽 후 6년여의 시간이 흐르면서 슬로프와 경계부 사면에는 주변에서 날아든 종자들이 유입되며 자연천이가 진행 중이다. 산림청과 전문가들도 이를 확인했다. ‘무조건 인공 복원하기보다는 자연천이에 의한 현지형 복원을 적절히 융합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둘째, 가리왕산 곤돌라는 자연 보존의 기능이 크다. 어차피 자연을 100%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사람들을 위해 사용한다면 곤돌라가 가장 적게 환경을 훼손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보나 차량으로 이동하면 기나긴 선형의 훼손이 발생하겠지만, 곤돌라는 오히려 사람으로부터 환경을 지키는 친환경 시설이 된다. 실제 호주 케언스 스카이레일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역에 곤돌라를 설치해 우수생태 관광상을 받기도 했다. 케이블카 선로의 총 길이만 봐도 우수한 생태를 자랑하는 스위스는 1,750㎞, 프랑스는 2,900㎞, 일본은 2,350㎞에 이른다. 한국은 133㎞에 불과할 뿐이다.

세째, 가리왕산 곤돌라는 지역 관광 경쟁력 제고의 핵심 자원이다. 지난해 1월 가리왕산 곤돌라 개장식 이후 지난달 말까지 34만여 명의 방문객이 케이블카를 이용했다. 정선군 인구 3만 4,202명보다 6배나 많은 것은 물론 정선 최고 관광자원인 화암동굴 관람객 13만 1,582명 보다 많다. 관광객 유입은 주변 상권 활성화와 고용 창출로 이어지며 큰 파급 효과를 낳았다. ‘지역경제 파급효과 용역’에서도 올해 곤돌라로 인한 생산파급효과는 753억원, 취업파급효과는 882명으로 분석됐다. 지역 소멸의 위기에 놓인 정선군민들이 가리왕산 곤돌라 존치가 지역경제 회생의 초석이 될 것으로 믿는 부분이다.

넷째, 교통 약자들도 자연 경관을 즐길 권리가 있다. 총 방문객의 35% 가량이 장애인과 임산부, 노인과 어린이 등 교통약자다. 어르신이나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해발 1,381m 가리왕산 하봉에 올라 봄·여름의 녹음과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까지 사계절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도 가리왕산 곤돌라의 존재 가치는 충분히 증명된 셈 아닌가? 남은 한달 여의 한시 운영 기간 동안 협의체의 전향적 결론을 기대해본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