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반도체 특성화대학 개소식 및 반도체 공동연구소 발대식(본보 15일자 1면 보도)이 지난 15일 강원대 글로벌경영관 AMP컨퍼런스홀에서 열렸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은 4년간 교육인프라 및 교육과정 운영 등을 위한 재정 지원이 이뤄지며 강원대는 인하대와 함께 비수도권 동반성장형으로 선정됐다.
총사업비 266억원이 지원되며 강원대는 올 하반기부터 관련 학과를 운영, 현재 5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 중이다.
공동연구소는 반도체 연구·교육의 중앙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와 지역 거점 연구소를 연계한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이다. 4년간 총사업비 511억6,000만원을 투자한다. 강원대는 국내 유일하게 설계분야에 선정돼 차별화된 전문인력 양성과 기업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강원자치도는 두 사업의 선정을 위해 대규모 지방비 대응투자 확약과 함께 관계 부처 등을 지속 방문·설득했다. 또 완성도 있는 사업계획을 위해 유관기관 및 전문가와 심도깊은 논의를 갖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벌였다. 특히 공동연구소 대면평가에는 김진태 지사와 육동한 춘천시장, 정재연 강원대총장 등이 함께 참석해 선정 필요성을 강력히 피력했다.
강원자치도는 ‘한국반도체교육원’을 포함한 4대 거점 국비 사업, 반도체 공유대학, 특성화고 반도체과, 첨단산업 부트캠프 운영 등의 반도체 교육 사업들 간의 시너지를 강원형 인력양성시스템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김진태 지사는 “반도체 신호탄을 처음에는 원주에서 쏴 올렸지만 이제는 춘천, 강릉권까지 골고루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오늘 사업들은 강원 반도체 국비 8호, 9호의 사업들로 특성화 대학에서 반도체 분야 전문 학생들이 배출되고 반도체 공동연구소에는 많은 기업들이 찾아와 연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재연 강원대 총장은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과 반도체공동연구소를 통해 강원대는 글로벌 반도체 교육과 연구의 중심대학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앞으로 첨단 실습 인프라와 최고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국가 반도체 인재 양성의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