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부산 고속철 개통, 지역 발전 연계가 중요

강원 영서와 영동에서 부산을 각각 1~2시간대에 연결하는 고속철도가 올 연말 연이어 개통한다. 우선 12월21일 중앙선 서울(청량리)~원주~경주~부산(부전역) KTX-이음의 운행이 시작된다. 중앙선 원주~봉양~도담~안동 구간은 이미 시속 250㎞ 주파가 가능하며 이번에 안동~북영천 구간이 고속으로 신규 개통해 경주까지 고속으로 연결된다. 경주에서는 동해선과 만나 부산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청량리~원주~안동~경주~부산 등 국내 내륙의 대표 관광지를 관통하는 고속철도 노선이 완성된다. 원주에서 청량리 40분, 원주에서 부산은 1시간20분이 걸린다. 현재 원주에서 부산까지는 무궁화호와 KTX를 환승해야 돼 4시간 가량 소요돼 운행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삼척~포항 고속철도의 완공으로 12월31일에는 강릉~동해~삼척~포항~울산~부산까지 동해선 고속철도가 연결된다. 최고시속 150㎞의 ITX-마음 열차가 투입될 예정이다. 동해·삼척~포항은 55분, 동해·삼척~부산 2시간대, 강릉~부산은 3시간대로 단축된다.

KTX강릉선과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수도권~강원 고속철도망에 이어 부산권을 연결하는 고속철도망까지 갖춰지며 강원 관광산업의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특히 서울~원주~부산, 강릉~부산의 철도연결은 국내 관광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당장 강원 영서와 동해안이 인구 300만의 부산, 경북, 경남 동해안과 철도로 연결되면 물류 및 관광 수요의 폭발적 증가가 기대된다. 당연히 지역 주민들도 지역경제에 활력이 돌 거란 희망을 부풀리고 있다. 개통 효과를 더 확장하기 위해서는 관광 자원과 철도 역사를 연계한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더 많은 사람이 쉽게 찾아 올 수 있도록 주변 연계 교통망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철도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한 강원특별자치도가 지역 거점을 새롭게 구축하고 그 거점이 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의 중심지로 기능하게 된다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 교통망 확충으로 접근망이 좋아진 지리적 입지를 활용한 발전전략을 새롭게 세워야 할 때다. 고속철도 노선이 깔린 만큼 앞으로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발전 계획을 촘촘히 짜야 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지역주민들이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철도 개통의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접근성이 개선되면 새 경제적 기회가 생기게 마련이다. 기회 요인을 극대화해야 한다. 산업과 관광 등 다방면에서 효과가 나타나야 마땅하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