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은 패기와 정열의 상징이다. 무기력이나 좌절과는 거리가 멀다. 세대로 구분하자면 20대다. 이상과 현실 사이에 고뇌하는 햄릿의 모습보다는 소신 있는 자기주장을 위해 돈키호테처럼 전진하는 패기만만함이 넘치는 때다. 이 같은 열정은 부조리한 사회 현실 고발과 사회 변혁을 이끌어 내는 역동적인 에너지가 된다. 2002년 대선 때는 인터넷 공간에서 노무현 후보 당선에 기여했다. 열정을 가진 젊은이들이 일터에서 능력을 한껏 펼치는 나라에 희망이 있다. ▼영국의 디즈레일리를 비롯해 많은 사상가가 ‘실수는 젊음의 특권’이라고 했다. 그러나 현실은 한 번만 삐끗하면 회복할 수 없는 사회가 돼 버렸다. 취업 시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모든 걸 잘하는 청년조차 취업을 못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강원지역 비경제활동인구 중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보다 6,000명 늘어난 1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사상 처음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섰다. 취업준비생도 역대 상반기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 중’이라고 응답한 수는 전년 대비 38.3% 감소한 9,000명이다. ▼이태백은 중국 당나라 때 시선(詩仙)으로 불린 시인인데 2030세대에게 물으면 ‘20대 태반이 백수’라고 동문서답하는 경우가 많다. 심각한 구직난으로 인해 10여 년 전 생긴 신조어가 요즘에도 직장을 구하지 못한 20대를 가리키는 용어로 통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작금의 청춘들은 고통스럽다. ‘청춘예찬’부터 ‘아프니까 청춘이다’에 이르기까지 세상은 청춘을 위로하지만 그들이 서 있는 곳은 늘 변방이다. 오늘보다 내일이 나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청년들은 꿋꿋이 도전한다. 하지만 내일이 더 암울하고, 고령화의 구조적 덤터기까지 써야 할 판이다. 청년을 나라의 미래로 삼는 진정성 있는 정부라면 정치적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켜켜이 쌓인 기득권을 타파하고 혁신사회로 탈바꿈시켜야 한다. 그게 곧 청년 일자리 대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