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원주공항 국제공항 승격 위해 강원도 적극 호응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원주공항 활성화포럼서 장진영 연구위원 "양양공항 이슈 해결 선결과제" 제시
중부권의 청주공항에 비해 인프라 부족…"GTX 등 대중교통망 연계 확충해야"
원강수 시장 "원주공항을 사람 뿐 아닌, 물류 수송 가능한 공항 조성에 힘쓸 것"

◇ '원주공항 활성화 방안 논의를 위한 포럼'이 24일 원주 인터불고에서 원강수 원주시장과 곽문근 원주시의회 부의장, 정운현 횡성군의회 부의장, 원제용 강원자치도의회 사회문화위원장, 권오광 강원자치도경제진흥원장, 조병주 원주상의 회장, 각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원주=허남윤기자

【원주】원주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좀 더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원주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린 '원주공항 활성화 방안 논의를 위한 포럼'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선 장진영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양양공항을 모항으로 삼고 있는 플라이강원이 지난해 5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강원자치도는 양양공항 활성화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여건에서는 강원자치도가 원주공항의 국제공항 승격 이슈에 호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중부권의 중복 영향권에 있는 충북 청주공항과의 비교에서도 현재로서는 밀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청주공항의 경우 충청권 유일의 공항으로 모기지 항공사까지 들어선 상황인데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CTX)와 잠실~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민자사업이 추진 중인 점에서 원주공항에 비교 우위에 놓였다는 것이다.

◇ '원주공항 활성화 방안 논의를 위한 포럼'이 24일 원주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렸다. 원주=허남윤기자

장 연구위원은 "원주공항 영향권에 놓인 사람은 211만명인 반면, 청주공항은 511만명에 달한다"며 "여기에 경기 남부권에서 논의중인 국제공항이 현실화될 경우 원주공항의 국제공항 승격은 힘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양양공항 이슈 해소를 통한 강원자치도의 적극적인 호응을 이끌어 내고, 원주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항공사 유치 등에 나설 경우 장기적인 국제공항 승격 움직임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대통령이 언급한 GTX-D 노선의 원주 연장을 통한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으로 경기권 수요를 충분히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송기한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신공항 개항에 따른 항공산업 변화와 인구감소·기후 위기 등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노력과 관광산업 변화 등에 기민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연명 한서대 항공부총장, 김재진 강원연구원 기획조정실장, 류재영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부회장, 이횡진 원주시청 안전교통국장이 패널로 나서 원주공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원강수 시장은 "이날 포럼은 원주공항의 국제공항 승격을 위한 의제를 보다 선명히 하기 위한 자리로, 사람 뿐 아니라 물류를 수송하는 중부내륙권 대표공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럼 진행 과정에서 원 시장과 곽문근 원주시의회 부의장, 정운현 횡성군의회 부의장, 원제용 강원자치도의회 사회문화위원장, 권오광 강원자치도경제진흥원장, 조병주 원주상의 회장, 각계 전문가 등이 참석해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