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1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 부천 호텔 화재 현장에서 사망자 7명 중 2명이 7층에서 에어매트로 뛰어내렸다가 숨지자 에어매트의 기능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23일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의 9층짜리 호텔 내부 810호(7층) 객실에서 연기가 난다는 119 신고가 처음 접수된 것은 오후 7시 39분이었다.
부천소방서 선착대는 신고 접수 4분 만인 오후 7시 43분에 화재 현장에 도착했고, 도착 5분 뒤인 오후 7시 48분 곧바로 호텔 외부 1층에 에어매트를 설치했다. 당시 부천소방서가 설치한 에어매트는 10층 높이에서 뛰어내려도 살 수 있게 제작된 장비였다. 가로 7.5m·세로 4.5m·높이 3m 크기다.
이 에어매트의 무게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126㎏이다. 보통 펌프차 등에 싣고 출동해 구조대원 4∼5명이 함께 들어 옮긴 뒤 설치한다.
화염과 함께 연기가 호텔 내부를 뒤덮으며 상황이 급박해지자 에어매트 설치 7분 뒤인 오후 7시 55분에 7층 807호 투숙객 남녀 2명이 뛰어내렸다.
그러나 먼저 떨어진 여성이 에어매트의 가운데가 아니라 한 변의 가장자리 쪽으로 떨어졌고, 그 순간 반동에 의해 에어매트가 뒤집히고 말았다.
이 여성을 구조할 겨를도 없이 불과 2∼3초 뒤에 남성이 곧바로 뛰어내리는 바람에 이 남성도 큰 충격과 함께 바닥으로 떨어졌다.
이들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모두 숨졌다.
구조를 기다리던 남녀가 화재 발생 후 비교적 신속하게 설치된 에어매트 위로 뛰어내렸는데도 숨지자 온라인에서는 에어매트 설치의 적정성을 놓고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현장 목격자들이 찍은 사진에는 '119부천소방서'라는 글씨가 거꾸로 된 채 뒤집힌 에어매트의 모습이 담겼다.
이 때문에 애초 처음부터 에어매트를 거꾸로 설치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에어매트는 정상적으로 설치됐으나 여성 추락 후 뒤집어졌다"고 말했다.
소방 당국은 처음에 뛰어내린 여성이 에어매트 가운데 부분이 아닌 모서리 쪽으로 떨어지면서 뒤집힌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고층에서 뛰어내리더라도 전날과 같이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인정했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어제 설치한 에어매트는 10층 용으로 8층에서 뛰어내려도 문제가 없게 제작됐다"며 "여성이 떨어질 때 모서리 쪽으로 쏠리면서 에어매트가 뒤집혔는데 사실 흔하게 일어나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날 화재 현장을 찾아 "(에어매트를) 잡아주는 사람은 없었느냐"고 묻자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당시 인원이 부족해서 에어매트를 잡아주지는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제대로 설치된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굳이 소방관들이 모서리를 잡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와 경찰, 보건소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34분께 부천시 원미구 중동에 있는 9층짜리 호텔 810호에서 난 불로 투숙객 7명이 숨지고 12명이 다쳤다.
사망자 7명은 모두 내국인으로 20대 남성 1명, 여성 2명, 30대 남성 2명, 40대 여성 1명, 50대 남성 1명으로 확인됐다.
중상 3명을 포함해 부상자 12명은 119구급대에 의해 6개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김인재 부천시 보건소장은 "일부 사망자는 호텔 건물 8층 계단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며 "사상자들은 현장에서 응급처치 후 인근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등 6개 의료기관으로 분산 이송했다고 밝혔다.
이날 객실에서 시작한 불이 호텔 전체로 번지진 않았지만, 건물 내부에 유독가스가 빠른 속도로 퍼지면서 인명피해를 키운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이날 사상자 대부분은 발화지점에서 가까운 호텔 8∼9층 객실 내부와 계단·복도 등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 관계자들은 이들이 호텔 내부에 가득 찬 연기 때문에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로 대피하지 못하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경기남부경찰청은 84명으로 수사본부를 편성하고 화재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수사본부는 부천원미경찰서 형사과를 중심으로 경기남부청 형사기동대, 강력계 등으로 꾸려졌다.
앞으로 화재 경위와 원인 파악 및 건물 관리 주체의 과실 여부 등을 파악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11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31명이 참여한 가운데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벌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