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해수욕장 쓰레기 2배 증가, 수거 대책 세워야

강원도 해수욕장의 쓰레기 처리량이 최근 2년 사이 2배 가까이 급증했다는 소식은 우리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이지영(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이 강원자치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내 해수욕장 쓰레기 처리량은 지난해 3,005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1,617톤)과 비교해 85.8%, 2022년(1,667톤) 대비로는 80.3%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이후 국내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강원도를 찾는 발길이 잦아졌고, 이와 함께 해수욕장 쓰레기 문제가 더욱 심화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해수욕장 환경 오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환경 의식 부족과 관광객 증가에 따른 인프라 부족이라는 복합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해수욕장이 쓰레기로 뒤덮이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 대책이 시급하다. 해수욕장 쓰레기는 미관상의 문제를 넘어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우선은 해양 생태계 파괴다. 해수욕장에 버려진 쓰레기는 해양 생물들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키거나, 얽혀 죽는 해양 생물들이 많아지면서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깨진다. 그리고 관광객은 줄어든다. 쓰레기로 넘쳐나는 해수욕장은 더 이상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공간이 아니다. 깨끗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찾는 관광객들은 쓰레기로 가득한 해수욕장을 외면하고 다른 곳으로 발길을 돌릴 것이다. 더욱이 이는 지역경제를 악화시킨다. 관광객 감소는 지역경제에도 큰 타격을 준다. 해수욕장 주변 상권이 침체되고 이는 주민들의 소득 감소로 이어진다. 해수욕장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은 시민 의식 개선이다. 무분별한 쓰레기 투기를 근절하기 위해 시민들의 환경 의식을 제고해야 한다. 학교 교육, 홍보 캠페인 등을 통해 쓰레기 분리수거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수거 체계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쓰레기통을 충분히 비치하고, 수거 횟수를 늘리는 등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때다. 여기에다 재활용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쓰레기 매립량을 줄이고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활용 시스템 보강을 미룰 수 없다. 분리수거 시설을 확충하고, 재활용 가능한 물질을 선별해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 또한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쓰레기 처리 예산을 확보하고, 관련 법규를 보완하는 등 능동적인 행정활동이 쓰레기 문제 해결의 열쇠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