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관리 사각지대 도내 방치 빈집 6,785세대 …장마철 주민 안전 위협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폭우로 빈집 지붕·축대·담장 붕괴사고 우려
인근 주택 거주 주민들 장마철 때마다 불안
예산부족·사유 재산권 문제 신속 정비 못해

◇게릴라성 폭우를 동반한 장마가 계속되는 가운데 관리 사각지대인 방치된 빈집이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사진은 춘천 도심의 관리되지 않고 있는 빈집.

게릴라성 폭우를 동반한 장마가 계속되는 가운데 관리 사각지대인 빈집이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심 내 빈집은 주택가 곳곳에 위치해 있고 서로 담장 하나를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집중호우가 쏟아지는 시기에는 관리되지 않은 빈집의 지붕이나 축대, 담벼락 등이 붕괴되는 사고가 잦아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춘천의 빈집 옆 주택에 거주하는 김모(81)씨는 “수년간 빈집에 자재들과 쓰레기가 방치되어 있어 평소에는 악취가 심하고 장마철이나 태풍이 올 때면 무너지면서 우리 집을 덮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불안해 했다.

여름철마다 장기간 방치된 주택가 빈집의 붕괴 및 침수피해가 우려되고 있지만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도내 빈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있다.

강원자치도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도내 전체 빈집은 총 6,785세대에 달한다. 홍천이 681호로 가장 많고 춘천(673호), 삼척(633호), 원주(632호), 영월(506호), 강릉(496호) 순이다. 이밖에도 동해(409호), 횡성(386호), 태백(379호), 속초(356호), 정선(318호), 고성(253호), 평창(239호), 양양(205호), 양구(172호), 화천(169호), 철원(160호), 인제(118호) 등에도 빈집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도내 시·군은 22억7,300만원을 들 419세대의 빈집을 정비한데 이어 올해도 20억9,400만원을 확보, 378세대를 정비할 예정이지만 빈집 증가 추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빈집이 구도심 또는 노후 주거지에 위치해 신속한 정비가 어려운 반면, 철거비용만 수천만원에 달하고 사유 재산권 문제로 시·군에서 임의로 철거할 수도 없어 정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도내 A 지자체 관계자는 “빈집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주택 소유자도 찾기 쉽지 않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장마나 태풍 상황시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