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농업 기계화, 미래를 위한 도약

박호균 강원자치도의원

5월 강원자치도의회 제328회 임시회에서 필자가 대표 발의한 ‘강원자치도 농업기계화 촉진에 관한 조례안’이 통과됐다. 농업기계화에 따른 명확한 지원 근거를 마련해 도내 농민들이 기계화 농업을 도입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기계화란 영농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기계와 기술을 활용, 농업의 자동화·현대화를 이루는 것이다. 트랙터와 콤바인, 파종기는 물론 최근에는 농업용 드론과 스마트팜 시스템 등 점차 첨단기술이 집약된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지난해 한국경제인협회에서 발표한 보고서 ‘농기계 산업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과제’에 따르면 우리 농업은 낮은 식량자급률, 농업인구 고령화, 낮은 밭농사 기계화율이라는 삼중고에 빠져 있다. 이러한 위기를 맞아 융복합형 형태로 진화하는 농기계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최근 통계청의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강원자치도 농가 인구는 약 14만명이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은 51.4%를 기록해 사상 최초로 전체 농가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에 비해 청년층은 6.8%밖에 되지 않아 농가들의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기계화는 적은 노동력으로도 생산력을 높여 농민들의 부담을 줄여준다. 예를 들면 트랙터를 이용한 밭갈이와 씨 뿌리기 등은 적은 인원이 단시간에 손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다. 또한 농업기계화는 기후변화 위기 대응에도 필수적이다. 기상 관측 센서 등이 대표적이며, 한파와 폭염 등 이상기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최상의 농작물 생육 조건을 맞추는 데 적합하다.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농업기계화는 효과적이다. 농기계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농기계 수요가 증가하면 관련 산업 발전이 촉진될 것이다.

현재 도내 농업기계화 정책 중 대표적인 것은 농업기계 임대사업이다. 농민들은 각 시·군에 위치한 임대사업소에서 농업기계를 임대할 수 있다. 2021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학술지 ‘농촌경제’에 발표된 ‘농업기계 임대사업의 생산비 절감 효과 실증분석’에 의하면 농업기계 임대사업에 따른 농작물(밭농업) 생산비가 평균 16~18%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팜 조성사업 역시 최근 도내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다. 현재 각 시·군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사업’ 등을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2022년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는 스마트팜 도입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 32.1% 증가, 노동시간 7.7% 감소, 농업소득 46.0% 증가 등 큰 효과가 있음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도의 정책은 아니지만 자율주행 농기계의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농업용 로봇 실증 지원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해 자율주행 농기계 활용을 지원했다. 그 결과 기존 농작업에 비해 농민의 피로도가 60%가량 줄어들고 작업시간은 30% 이상 단축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강원자치도는 현재 지역 소멸, 노동력 감소 등 대내외적 위기를 뼈아프게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의 근간 산업인 농업이 바로 서야 한다. 농업의 세계화 흐름과 현대 자동화 농업의 추세에 발맞출 수 있도록 농업기계화를 적극 촉진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우리 강원자치도의 도약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