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월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선정, 발표할 예정이다. 강원을 비롯해 전국 11곳이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강원(춘천+홍천)과 인천 송도, 대전 유성, 경북 안동+포항, 경기 시흥, 전남 화순 등 6곳은 바이오의약품, 경기 고양, 수원, 성남, 충북 오송, 전북 전주+익산+정읍 등 5곳은 오가노이드다. 분야별로 1곳씩 최소 2곳 이상을 지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강원은 6대1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 셈이다.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 평가를 맡고 있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최종 평가 및 선정 업무협의 회의를 갖고 결과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하면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 중순 이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특화단지로 선정되면 연구개발, 인력 양성, 테스트베드(시험 설비) 지원에다 각종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 특례가 주어진다. 내년부터 5년 동안 국비 5,400억원도 지원받는다. 미래 먹거리 전략산업 육성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로서는 놓칠 수 없는 기회다.
특히 전국 비수도권 중 유일하게 강원에만 정부 지정 첨단산업 특화단지가 없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정부 지정 첨단·소부장 특화단지(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특화단지, 소부장 특화단지)가 없는 곳은 강원과 인천뿐이다. 인천은 수도권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강원이 유일하다. 더욱이 특화단지 지정의 법적 근거인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16조는 ‘수도권 외의 지역’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0년간 육성해 온 춘천과 홍천의 바이오산업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1년 이후 춘천, 홍천 바이오기업 매출액은 3년 연속 1조원을 돌파했다. 또 국내 유일 항체 연구소, 바이오의약 강소 특구 등 산·학·연 기관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이미 유치에 성공한 글로벌혁신특구와 기업혁신파크, 강원특별법 특례 등 다양한 시너지를 낼 요소가 있다. 따라서 강원은 산업 경쟁력과 함께 전국 유일의 특화단지 소외지역이라는 점, 법적인 명분 등 삼박자를 모두 갖춘 유일한 지역이다.
하지만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막강한 인프라를 구축한 광역시와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기에 더욱 그렇다. 국책사업 유치는 명분만으로는 이뤄내기 어렵다. 치밀한 전략으로 지역의 장점을 최대한 강조하며 역동적으로 뛰어야 가능하다. 수도권에 기업이 집중돼 지방이 저평가받은 전례가 반복될 수도 있다. 마지막까지 모든 역량을 기울여야 한다. 바이오산업은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고 확대·개편하는 ‘글로벌혁신특구’의 최적 분야이며 강원 미래 전략의 핵심이다. 따라서 강원자치도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화단지를 꼭 유치해야 한다. 정치적 영향력은 미약하지만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이뤄지고 강원의 산업 성장 잠재력이 반영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