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침체가 가속화 되면서 국내 건설업계에서 중소 및 중견건설사 10여곳의 법정관리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강원자치도를 포함한 지방에 현장을 둔 건설사 일부가 포함됐다는 설까지 번지면서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업계를 중심으로 중소·중견건설사 10여개가 4월 법정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중견 건설사 등으로 일부 업체는 부채비율이 업계 위험수준인 200%를 넘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자금여력이 부족한 도내 건설업체들은 연초부터 이미 위기에 직면해 있다. 국토교통부의 건설업행정정보에 따르면 올해 들어 20일까지 도내 접수된 폐업신고(변경, 정정, 철회 포함)는 41건으로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였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건설사의 법정관리 돌입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선을 그었다. 거론된 기업중 상당수가 자금력이 탄탄한 대기업 계열사 등 이어서 유동성 위기를 겪을 만큼 어려운 상황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도내 건설업계는 상황을 심상치 않게 바라보고 있다. 거론된 업체중 도내에 본사를 뒀거나 사업을 진행중인 경우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도와 연관된 현장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단순 경기침체에 더해 지역업체들의 직간접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