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이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활용해 강원특별자치도에 대한 24시간 산불 감시체계를 마련한다.
산림청은 산림재난 대응 강화, 임업인 소득 제고 및 산림휴양·치유 복지서비스 확대,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실현, 산림경영의 디지털화, 국제산림 협력 확대 등 5대 전략과 12대 세부 과제로 이뤄진 '2024년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20일 발표했다.
먼저 대형 산불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과 협업해 영농부산물 수거·파쇄 등 예방활동을 강화한다. 특히 산불위험이 큰 강원특별자치도와 경북을 중심으로 24시간 AI 산불감시체계를 확대하고, AI 기반 산불감시체계 ‘ICT 플랫폼’을 전국 20곳으로 확대에 초기 감지능력을 확보한다.
여기에 담수량이 큰 임차 헬기 7대를 동해안 등 산불위험 지역에 전진 배치하고, 산불 진화임도 409㎞를 확충해 진화 효율을 높인다.
또 부처별로 관리하던 산림 및 주변 비탈면을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고, 산림 계곡 분포와 유량 정보를 자료화한 '산림 수계 수치지도'를 구축해 89%인 산사태 예측력을 94%까지 향상 할 계획이다. 산사태 예측정보 체계에 '예비 경보'를 추가해 주민 대피 시간도 1시간 추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산림 현장 인력난에 따른 임업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외국인 근로자(1,000명 예정)를 현장에 투입한다. 임업 직불제 지급 기준을 완화하고, 비과세 확대·취득세 감면 등 임업 분야 세제도 개선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국민과 220만 산주, 21만 임업인이 숲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산림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