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줄줄이 오르는 건설자재가격…지역건설업계 한숨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원주권 레미콘업계 레미콘가격 8.1% 인상 협의
건설업계 설계변경 없어 인상분 떠안을 것 우려

강원일보DB

각종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강원특별자치도 내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시멘트 가격 상승폭이 워낙 큰 탓에 레미콘 가격 협상을 진행중인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어 조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원주권을 시작으로 8% 수준의 레미콘 가격 협상이 진행 중이지만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 모두 침체를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29일 강원도레미콘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원주권 레미콘업계와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는 최근 레미콘 단가를 1루베(㎥)당 7,500원(8.1%) 인상하는 안에 합의했다.

가격 조정에는 시멘트값, 골재값, 운반비 등 원가 상승분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국내 시멘트 가격은 지난해 10~11월을 기점으로 10만5,017원(7개사 평균)에서 11만2,017원으로 6.7% 올랐다. 이달부터는 골재 가격도 10% 인상된 상황이다.

김종선 도레미콘공업협동조합 전무는 "제조원가에서 시멘트와 골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50% 수준"이라며 "원가 부담이 커진만큼 10%대의 인상안을 요구했으나 건설업계의 어려움에 공감해 8% 수준에서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레미콘값 인상 소식에 건설업계는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다. 최근 3년 간 건설 공사에 들어가는 비용이 30% 가까이 치솟은 가운데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공사비지수는 153.37(2015=100)로 2020년 동월(120.22)대비 27.9% 상승했다.

관급공사 의존도가 높은 도내 건설업계 특성상, 이미 설계가 완료된 공사의 자재비가 급등하게 되면 업체가 상승분을 떠맡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는 수익률 악화로 이어져 폐업, 부도 위험을 키울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29일까지 도내 접수된 건설업 폐업신고(변경, 정정, 철회 포함)는 26건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62.5%(10개) 늘어난 규모다.

신동준 대한건설협회 도회 사무처장은 "과거 철근값 파동과 비슷한 상황이 건설자재 전반에서 벌어지고 있는 셈"이라며 "자재값 상승에 따른 설계변경이 이뤄지지 않아 적자시공을 하게 되는 상황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