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 3년도 안 돼 주택을 되판 집주인이 도내만 7,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도내 전체 주택 매도자의 40%에 이른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11월 강원자치도 내 집합건물(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연립 등) 매매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한 매도인(법인, 국가기관을 제외한 내국인)은 총 1만6,587명으로 집계됐다. 주택 보유기간별로 보면 ‘2년 초과 3년 이하’로 집을 내놓은 매도인은 3,126명으로 전체의 15.6%를 차지했다. ‘1년 초과 2년 이하’ 주택을 보유했던 매도인이 2,608명으로 뒤를 이었다. ‘1년 이하’도 1,172명이었다. 주택을 구입한 지 3년 미만인 총 매도인 수가 6,906명으로 전체의 41.6%였다. 지역별로 원주가 4,82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춘천 3,201명, 강릉 1,611명, 속초 1,583명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는 최근 고금리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주택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면서 집을 매도한 집주인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조사 결과 11월 신규취급기준 주택담보대출 은행별 평균 금리는 5.20~6.97% 구간을 보였다. 2021년 1월 당시 은행별 평균 금리가 2.58~3.47%였던 것을 고려하면 불과 3년 사이 1.5배 이상 오른 셈이다. 고금리 부담을 극복하지 못하고 집을 처분하고 있는 것이다. 빚의 액수가 불어나고 있는 것도 걱정이지만 빚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보험과 적금을 깨 빚을 해결하는 가계는 그나마 다행이지만 더 이상 버티기 힘들어 살던 집을 팔아넘기는 경우는 그만큼 가계의 상환 부담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고물가에 고금리까지 겹치면서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민 대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택담보대출이다. 부동산 경기가 좋으면 그만이지만 요즘처럼 바닥인 상황에서는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고금리 속에 가계 빚이 계속 늘어나고 부동산 경기마저 하강할 경우 그 결과는 불 보듯 뻔하다. 신용등급이 낮은 데다 금융기관 여러 곳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빚을 갚기 어려워진 ‘하우스푸어(House Poor)’는 집을 처분해도 금융회사가 대출금을 모두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금리에 따른 가계 빚의 급증은 금융 부문뿐만 아니라 소비 위축 등 지역경제 전반에 부담을 주게 된다. 정교하고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