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국회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사임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1일 "위원장직을 사임한 것은 거야(巨野)의 압력에 떠밀려서가 아니고, 야당의 주장처럼 정치적 꼼수는 더더욱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 방통위 기자실을 찾아 사퇴 배경에 대해 "오직 국가와 인사권자인 대통령을 위한 충정에서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지금 거대 야당이 국회서 추진 중인 나에 대한 탄핵소추가 이뤄질 경우, 그 심판 결과 나오기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알 수 없다"며 "그동안 방통위가 사실상 식물상태가 되고 탄핵을 둘러싼 여야 공방 과정에서 국회가 전면 마비되는 상황은 내가 희생하더라도 피하는 게 보직자의 도리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거대 야당이 숫자의 우위를 앞세워 밀어붙이는 탄핵소추의 부당성에 대해서는 이미 국민 여러분께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런 탄핵소추는 비판받아 마땅하나 국정을 책임지는 입장에선 대의를 우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이어 "국회 권한을 남용해 마구잡이로 탄핵을 남발하는 민주당의 헌정질서 유린 행위에 대해선 앞으로도 그 부당성을 알리고 계속 싸워나갈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 거야의 횡포에 대해 준엄한 심판을 내려주시리라 믿는다"고 했다.
그는 "어떤 자리에 있더라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과정에 대해선 "구두로 했고 인사혁신처에 전달된 것으로 안다. 다만 (수용) 결정은 오늘 하신 것이고, 인사권자의 결정에 이렇다 저렇다 말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또 탄핵소추안이 통과 돼도 현재 공석인 상임위원들을 임명하면 방통위 업무수행이 가능하지 않았겠느냐는 물음에는 "방통위 구성이 여야 3대 2인 것은 숙의와 협의를 하더라도 여당이 상황과 결정을 주도한다는 정신 때문"이라며 "지금 임명해도 여야 2 대 2 구도가 돼 꽉 막힌 상황, 식물상태인 것은 똑같다"고 답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진 사퇴의 뜻을 밝힌 이 위원장의 면직안을 재가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이 위원장은 주요 업무에서 차질이 생긴 데다, 국회 탄핵안 통과 시 수개월간 직무 정지로 방통위 마비 상태가 올 것을 우려해 전날 늦게 윤 대통령에게 사퇴의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방통위는 이 위원장이 사퇴함에 따라 이상인 부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했다.
이 부위원장은 차기 위원장 또는 현재 공석인 상임위원들이 올 때까지 위원장 직무를 대리하게 된다.
방통위는 기존에도 상임위원 정원 5명 중 3명이 공석이었고, 이 위원장까지 사퇴하면서 이제 1인 체제가 돼 안건 의결은 불가능한 상황으로 필요 최소의 업무만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 안팎에서는 이 위원장이 업무 공백 우려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만큼 이른 시일 내 후보자 지명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