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강원지역 가계부채 줄었는데 취약계층과 고령층 빚은 ‘눈덩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한국은행 강원본부 ‘최근 강원지역 가계부채 현황 평가’
취약차주 연체율 1년새 1.2%p, 고령층 연체율 0.8%p 증가
고령층 개인사업자대출 채무부담비율 39%→68%로 급증

강원특별자치도 내 가계부채는 줄어들고 있지만 취약계층과 고령층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도내 가계부채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가계부채가 지역경제의 뇌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5일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발표한 ‘최근 강원지역 가계부채 현황 평가’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가계부채는 38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0조원보다 1조3,000억원 감소했다.

하지만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이 있는 저신용 또는 저소득 차주인 취약차주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5.2%에서 올해 2분기 6.4%로 급등했다. 생계 등의 목적으로 돈을 빌렸지만 최근 경기부진으로 인해 이자를 갚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취약차주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의존도가 높아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도내 가계부채의 24%를 차지하고 있는 60대 이상 고령층 연체율도 지난해 2분기 1.4%에서 올해 2분기 2.2%로 껑충 뛰었다. 이는 팬데믹 이후 관광객 급감, 식재료 가격 및 대출금리 상승 등 개인사업자의 영업환경 악화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청년층(40대 미만)과 중장년층(40~50대)의 개인사업자들은 소득대비 대출비율(LTI)이 2019년 말 대비 각각 9%포인트, 12%포인트 소폭 상승한 반면 고령층은 2019년 말 39%에서 올해 68%로 29%포인트나 급증했다.

더욱이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80%를 초과하고 있어 가처분 소득 감소에 따라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한은 강원본부는 앞으로 도내 특정지역에서 가계부채가 급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취약차주의 원리금 상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용준 기획금융팀 과장은 “지역 내 취약차주의 대환대출 유도, 비은행 금융기관 손실 흡수능력 개선 등을 통해 부실위험을 관리하고 주택연금 수령자 확대, 금융규제 정비 등 통해 고령층의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