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무료급식소 문닫아…소외이웃 추석 밥상은?

고물가에 후원금·봉사자 줄어 무료급식소 ‘이중고’
사과‧배 등 식재료 전년 대비 15.2%까지 치솟아
지자체 “추석 연휴 복지 공백 막을 대책 마련할 것”

◇사진=강원일보 DB

취약계층에게 무료로 음식을 제공하던 무료급식소들의 운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후원금에 이어 자원봉사자까지 줄며 일부 급식소가 추석 연휴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 급식소를 이용하던 소외계층들이 긴 추석연휴 끼니 걱정을 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매주 3회 지역 내 취약계층에 점심식사를 제공하는 춘천의 A 무료급식소. 추석 연휴를 앞두고 송편과 잡채, 과일 등 명절 음식을 준비 중이지만, 최근 밥상 물가가 급등하면서 충분한 식사량을 마련하지 못할까 걱정이 커졌다. A급식소 관계자는 “추석을 홀로 보낼 이웃들과 과일 한 쪽이라도 더 나누고 싶지만 식재료 가격이 30~50% 정도 올라 반찬 가짓수와 간식 규모를 줄여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강원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1% 상승했으며,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농산물은 지난해보다 4.7% 올랐다. 특히 사과‧배 등 명절 기간 수요가 높은 과일은 전년 대비 15.2% 뛰었다.

코로나 여파로 줄어든 후원금과 자원봉사자 수가 회복되지 않아 연휴 동안 문을 닫는 급식소도 생겨났다. 민간 후원으로 운영되는 원주의 B 무료급식소는 한달에 100만원 가까이 들어오던 후원금이 코로나19 이후 50만원 이하로 줄었다. B 급식소 설립자는 “후원금만으로 주 6일의 식사를 책임지기는 힘들어 사비도 보태고 있다”며 “후원금이 많을 때는 연휴에도 급식 봉사를 진행했지만 올해는 쉬어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강릉의 C 무료급식소 역시 자원봉사자가 부족해 이번 추석 연휴 무료급식을 중단한다. 이곳 관계자는 “150인분의 음식을 배식‧배달을 하려면 적어도 5명의 봉사자는 필요한데, 지금은 2명의 봉사자가 이 과정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긴 연휴에 무료급식소 운영 중단까지 겹치면서 도내 취약계층의 돌봄 공백이 우려되자 강원특별자치도와 도내 각 시‧군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자체 관계자는 “취약계층에 과일·간편식품 등 위문 물품을 지급하고, 연휴 기간 독거노인 등의 안부를 확인하는 비상 연락체계를 상시 운영해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