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발언대] 빗길 교통사고 예방 안전운전이 최선이다

이무형
철원경찰서
교통관리계장

운전자들은 장마철에 특히 교통안전 수칙을 더욱더 잘 지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빗길에서 20%를 감속해 운행하여야 하고 폭우 시에는 50%를 감속해서 운행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야간에는 노면 반사로 인해 도로의 노면표시가 보이지 않아 사고 위험이 더 높아지므로 충분히 감속해서 운전해야 한다.

한국교통공단은 2020~2022년 3년간 기상 상태에 따른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장마철인 7~8월에 전체 빗길 교통사고 사망자(776명)의 32.9%(255명)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마철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2.01명으로 맑은날(1.31명) 대비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빗길 사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차종과 기상 상태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빗길 교통사고 사망자 중 32.0%인 248명이 화물차 및 버스 등 대형차량으로 빗길 교통사고의 치사율이 맑은 날보다 평균 1.8배 이상 높아 대형차량 운전자는 빗길에서 안전운전에 유의해야 한다.

장마철에 교통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교통안전수칙을 꼭 지키면서 운행해야 할 것이다. 먼저 물웅덩이를 통과할 때는 저단기어를 사용하고 폭우 시에는 잠시 안전한 곳에 대기해야 한다. 운행 중에는 차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전조등은 꼭 작동시켜 자신의 차량을 알릴 필요가 있다. 비가 내리는 도로에서 급제동하면 마른 노면과 비교해 제동거리가 40~50%가량 길어진다. 이에 따라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해 차량 추돌사고나 차로 변경 중 측면 접촉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차량 관리 방법으로는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필히 와이퍼를 확인해 불량일 경우 교체를 해야 한다.

타이어는 수막현상을 피하기 위해 타이어 홈의 깊이가 충분한지 운행 전 확인하고 마모한계선에 도달하기 전에 교체를 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도 확인해야 하는데 평소보다 10~15% 높게 유지하면 배수성을 높여주고 수막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렇듯 사전에 충분히 교통안전수칙을 준수하고 평상시 차량 관리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한다면 안전한 운행은 당연히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