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가 ‘강원도’로 불리기 시작한 지 628년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됐다. 11일 0시를 기점으로 강원특별자치도는 새로운 도약의 발판에 섰다.
강원도는 고대 예맥으로부터 시작된 유구한 역사를 지녔다. 고구려·백제·신라가 힘을 겨루던 시기에는 고구려 지방이었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신라의 영토가 됐다. 1394년(태조 3년) 6월23일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강릉·교주도를 합해 강원도로 개칭하자고 건의, 1395년 6월13일 강원도가 탄생했다. 강원감영이 원주에 설치됐고 관찰사가 도 전역을 다스리며 628년의 역사가 시작됐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강원도가 걸어온 길은 순탄치 않았다. 일제강점기, 일제는 강원도를 석탄 수탈의 중심지로 삼았다. 1935년 태백 철암역두선탄시설이 탄광에서 채굴된 원탄을 선별·가공·처리하는 국내 최초 무연탄 선탄시설로 설립됐고 강원도 최초로 영월광업소가 개광했다.
1945년 광복을 맞은 기쁨도 잠시 1950년 6·25전쟁 중 강원도는 춘천 원창리 전투, 양구 피의 능선 전투, 철원 백마고지 전투 등 수많은 격전지를 남겼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 체결 후에는 전 세계 유일의 분단도가 됐다. 북과 맞닿아 있는 강원도에는 무장공비 침투뿐 아니라 납북귀환어부 등에 대한 국가폭력이 자행됐다.
이후 국가 에너지산업에 중추적 역할을 한 폐광지는 침체됐고 강원도 전체 면적의 1.3배가 넘는 지역이 환경·산림·국방·농지 등 4대 규제에 묶였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에서 주목받기도 했으나 인구 감소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에 맞닥뜨렸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2008년 도의회에서 강원특별자치도가 최초로 논의된 후 20대 대선에서 4당 대통령 후보 모두 공약으로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되며 급물살을 탔고 2022년 5월29일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강원특별법)’이 제정됐다. 지난해 9월27일 강원자치도 지원위원회 설치를 골자로 한 1차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올 1월 강원도가 2차 개정안 초안을 구체화하며 비전은 ‘미래산업 글로벌도시’로 확정했다.
올 2월6일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갑) 국회의원이 137개 조문의 전부개정안을 국회에 제출, 여야 86명이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 지난달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여야 정쟁속 파행을 빚으며 심사가 무산됐고 도민 1,000명이 상경 집회를 개최했다. 결국 지난달 2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84개 조항으로 개정을 완료하는데 성공했다. 그렇게 굽이굽이 어려운 길을 겪어온 강원도는 강원특별자치도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