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고금리 시대 끝…주택담보대출 평균 연 4%·신용대출 5% 대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으로 당분간 신용대출 금리 더 낮아질 전망

사진=연합뉴스.

5대 주요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4%대를 기록, 뚜렷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기준(4월 취급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방식) 평균금리는 모두 연 4%대를 기록했다. NH농협은행의 실제 주담대 평균 금리가 연 4.24%로 가장 낮았고, KB국민은행 연 4.29%, 하나은행 연 4.35%, 신한은행 연 4.54%, 우리은행 연 4.70% 등이었다.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모두 연 4%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은 연 5%대다. 지난 5월(4월 취급분) 일반신용대출 평균금리(서민금융 제외)는 신한은행이 연 5.23%로 가장 낮았고, 하나은행 연 5.36%, 우리은행 연 5.41%, NH농협은행 연 5.66%, KB국민은행 연 5.78%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NH농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연 7%가 넘고 나머지 은행도 모두 연 6%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4~5개월 만에 평균 금리가 1%포인트 이상 내려간 셈이다. 최근 도입된 대환대출 플랫폼으로 금융사들이 경쟁에 나서면서 당분간 신용대출 금리는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은 타 금융기관 대출을 우리은행 대출로 신규 대환하는 경우 우수 신용등급 고객에게 최초 약정기간 대출금리 0.5%포인트 추가 우대 혜택을 주고, NH농협은행도 선제적으로 신용대출 금리 최대 0.63%포인트 인하를 단행했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대환대출 플랫폼 가동에 맞춰 전용 특화 상품 '하나원큐 신용대출 갈아타기'를 출시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끝나지 않은 전쟁, 기억해야 할 미래

新팔도명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