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옛 이야기가 된 2월 졸업식…12월 졸업식이 대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 초교 62.1% 12월 졸업식
1월 졸업식 학교도 36~40% 달해
새 학기 준비에 여유…점점 당겨져

19일 경기도 군포시 수리고등학교에서 열린 졸업식에서 학생들이 졸업장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2월 졸업식이 사라지고 1월을 넘어 12월 졸업식이 대세가 되고 있다.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학사일정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면서 졸업식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다.

19일 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372개 초등학교 가운데 231개(62.1%) 학교가 12월에 졸업식을 갖는다. 대부분 오는 28~30일 사이에 종업식을 겸한 졸업식을 계획하고 있다. 내년 1월 초 졸업식을 하는 학교도 136개 학교(36.6%)에 달했다. 반면 2월에 졸업식을 계획하고 있는 초등학교는 5곳에 불과했다.

중학교도 비슷하다. 전체 160개 학교 중 59.4%에 해당하는 95개교가 12월에, 39.4%(64개교)가 내년 1월 초 졸업식을 치른다. 2월 졸업식을 계획한 중학교는 단 1곳 뿐이다.

고교는 115개 학교 가운데 56.5%인 65개 학교가 12월에 졸업식을 하며 40.9%인 47개교가 1월에, 나머지 3개 학교는 2월에 실시한다.

통상 졸업식은 2월에 실시됐었다. 그러다 2010년 이후 학교가 법정 의무 수업 일수만 채우면 학교장이 졸업식과 방학 일정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게 되면서 최근 4~5년간 '1월 졸업식'이 크게 늘었다. 올해는 이보다 더 이른 12월 말을 선택하는 학교가 더 많아졌다. 전통적인 졸업시기가 두 달가량 빨라진 셈이다. 자연스럽게 봄방학도 사라지는 분위기다. 졸업식이 앞당겨지면서 학교는 새 학기 준비에 그만큼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일 수 있게 됐다.

A학교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코로나19 여파로 수업일수를 채우기 위해 1월 중하순에 졸업식을 하는 학교가 많았다"며 "올해는 거의 정상적으로 수업이 이뤄져 학사 운영에 여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