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책] 지금의 한국은 어떤 장면들로 탄생했을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백범흠 한중일협력사무국 사무차장
'한국의 기원을 찾아서'

◇한국의 기원을 찾아서

방대한 역사의 흐름 속에 한국의 '지금'을 결정한 주요 장면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강원도국제관계대사를 역임한 백범흠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TCS) 사무차장이 이에 대한 답으로 '한국의 기원을 찾아서'를 펴냈다.

본보에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우리 역사의 결정적 장면 20개'를 선정해 연재한 것을 대폭 수정, 보완한 것이다. 저자는 민족 이동과 전쟁을 중심으로 역사를 관찰했다. 그리고 오늘을 사는 독자들이 역사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시대 역순으로 편집됐다.

책은 1940~50년대 있었던 '중국 국·공 내전과 한반도 분단'부터 기원전 4~3세기 '동아시아의 게르만, 부여족(扶餘族)의 남하'까지 핵심사건 20개를 전후맥락에 따라 기술하는 방식으로 우리 역사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조선의 식민지화를 결정한 러·일 전쟁', '동학농민봉기와 청·일 전쟁', '인조반정과 조선의 굴욕' , '몽골 울루스(제국)의 일부가 된 고려' 등도 소개, 우리 역사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 중국사, 몽골사, 중앙아시아사, 일본사도 활용했다. 책을 읽고 나면 4,000여년 우리 역사가 한눈에 그려진다. 우리 영토와 역사 문화에 대한 이웃나라들의 부당한 공격을 방어하며 우리의 정체성을 지킬 힘도 얻는다.

저자는 “ 한 민족이 생존해 나가기 위해서는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역사적 공간 확보도 필요하다. 역사의식을 갖고 있어야 나라를 유지할 수 있고 발전해 나갈 수 있다”며 “우리가 한민족으로서의 역사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남·북한과 간도로 3분된 한민족 통합도 가능하다.선진국 대한민국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중앙아시아 등 외국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중국대사관 총영사, 주다롄영사사무소장,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 등을 역임,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 시무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늘품플러스 刊. 262쪽. 1만5,000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