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개발도상국에 대해 2억달러 규모의 코로나19 백신 지원에 한국이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2일 오후(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첫 번째 확대회의 세션에 참석해 "'코백스 선구매공약매커니즘'(COVAX AMC)에 대해 올해 1억 달러를 공여하고, 내년에 1억 달러 상당의 현금이나 현물을 추가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G7 회원국과 한국을 포함한 4개 초청국 정상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백신의 공평한 접근 보장을 위해서는 백신 공급의 조속한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개도국 백신 지원을 위한 한국 정부의 계획을 이 같이 소개했다.
선진국이 공여한 자금으로 개도국에 백신을 공급하는 '코백스 선구매공약매커니즘'(COVAX AMC)에 대해 올해 1억 달러를 공여하고, 내년에 1억 달러 상당의 현금이나 현물을 추가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또 백신 공급 확대 방안으로 "한국이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백신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며 "미국뿐 아니라 다른 G7 국가들과도 백신 파트너십을 모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백신 개발에 대한 유럽의 선도적 능력과 한국의 우수한 생산 능력의 결합해 백신 생산 거점을 확대해야 한다"며 "한국은 글로벌 백신 허브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U 정상들은 한국이 'P4G 서울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점을 축하했고, 양측은 국제사회 탄소중립을 위한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EU는 '유럽 그린 딜'과 '2030 디지털 목표'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를 선도하고 있다"며 "한국 역시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며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EU는 저탄소경제, 재생에너지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은 수소차,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 수소경제 분야가 강점인 만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긴밀한 협력을 제안했다.
나아가 "한국과 EU는 서로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마지막 날인 13일 '열린사회와 경제', '기후변화·환경'을 각각 주제로 한 확대회의 2세션과 3세션에 잇달아 참석한다.
이무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