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통역 인력 부족” 강릉 이주노동자 역학조사 난항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연합뉴스

정부 긴급 인프라 지원 심층적 위기관리 속도 못 내

4월부터 감염 파악…검사 독려 소홀 등 비판 목소리

속보=최근 강릉에서 이주노동자들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감염(본보 지난 6일자 1면 보도)이 이어지고 있지만 역학조사와 검사 인프라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의사·공중보건 전문가 등 비상시 방역작업을 지원해야 하는 지역사회 전문인력들이 현장 진입에 제약을 받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강원도와 강릉시는 통역 인력 8명을 법무부, 여성가족부 등으로부터 긴급 지원받아 현장에 배치하고는 있으나 역학조사와 감염 환경 조사 등 심층적인 위기 관리에 대한 대응에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본격적인 확진자 발생 전인 4월부터 이미 이주노동자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감염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되면서 방역 당국이 통제에만 급급했을 뿐 방역 지원과 검사 독려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강원도는 올 3월 외국인 노동자 전수검사를 강행, 7,889명에 대해 검체를 채취했으나 확진자는 단 1명에 불과했으며, 이후 위기 통역 인프라 확보 등 실질적인 조치는 없었다는 지적이다.

이번 확산 사태 초기에도 지자체 일각에서 감염자의 '불법 체류' 신분임을 공지하는 등 오히려 검사 참여 자체를 저해할 수 있는 방역과 무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정리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시급히 인종과 국적을 기준으로 방역작업을 진행하는 관습을 폐지하고, 각 이주민의 거주환경 등 실질적인 감염 위험 요인을 평가해 지원해야 앞으로의 위기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김규찬 강릉원주대 다문화학과 교수는 “전수검사 등 이주민을 대상화하는 정책 대신 국적과 관계없이 주민들의 거주환경, 노동환경 등을 파악해 검사와 방역작업을 독려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10일부터는 경찰 인력 등 통역 지원 인력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서화기자 wiretheasia@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