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인 의료관광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강원도가 보다 역동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물론 정부의 방향은 아직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문제는 다른 시·도가 이를 ‘병원 육성’ 정책으로 변질 선점하고 있다는 데 있다.서울과 부산 대구 경기 등 타 시·도에서는 이미 의료특구 지정, 의료관광객 유치에 나서는 등 구체적 활동을 보이고 있다.
갈수록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고용사정이 악화되는 등 심각해지고 있는 지역경제 위기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서라도 의료관광 산업이 올바로 실행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그러기 위해서는 강원도부터 정부의 지침이 서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앞서 가기는 곤란하다는 소아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우선은 국민의 정서와 정부의 포괄적인 틀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내수부진과 일자리 창출에 핵심역할을 할 수 있는 의료관광 산업의 경쟁력이 선진국에 비해 낮다는 것은 일반 국민이 잘 알고 있다.이는 최근 기획재정부가 한국 개발연구원과 실시한 ‘서비스산업 선진화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다.특히 국민 60%가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분야로 의료관광 산업을 꼽았다.고무적인 일은 의료관광 산업에 민간기업 또는 자본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문제에 대해 70%가 넘는 일반 국민이 찬성하고 나선 것이다.강원도의 경우 동해안 천혜의 자원은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하기에 적지다.강원도가 오히려 이를 선점하기 위한 내부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타 지방자치단체는 외국인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성형외과와 피부과가 여행사와 공동으로 의료관광 상품을 준비하며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또 특급호텔과 대형 쇼핑센터, 의료기반 등을 내세워 의료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 이때 강원도만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비난을 들어서 될 일인가.강원도가 스스로 물어야 할 문제는 전국 자치단체가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즉, 그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밀하게 대응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의료관광 산업 육성에는 분명 경쟁의 원리가 들어가 있다.이들 사업도 크게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이 요구되는 분야다.평등의 원칙이 아니라 능력의 원칙에서 의료관광 산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결과적으로 지금까지 낙후와 소외된 강원도를 배려해야 한다는 당위론이 모든 정책수단을 정당화해 주지 못한다.때문에 도의 의료관광 산업을 성공시키고 발전시켜 나가자면 그 어느 때보다도 치밀한 준비가 있어야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