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60조원을 넘어섰다.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작년 1분기(75조3,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큰 규모다. 재정건전성에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다는 의미다.
15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총수입은 159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2조5,000억원 증가했다.
국세수입은 93조3,000억원으로 8조4,000억원 늘었다. 성과급 지급 확대, 근로자수 증가 등으로 소득세가 2조8,000억원 늘었다. 부가가치세는 1조5,000억원 줄었다.
3월 말 기준 총지출은 210조원으로, 지난해보다 약 2조2,000억원 줄었다.
통합재정수지에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 수지(11조3,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61조3,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작년 1분기 적자와 비교하면 14조원 줄어든 수치다.
다만, 최근 국회를 통과한 13조8,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 요인이 최종적으로 반영되면 지난해 적자규모에 육박하게 된다. 이번 추경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10조원에 가까운 국채가 추가로 발행된다.
3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1,175조9,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6,000억원 감소했다.